“3년 내리 적자 내 책임 아니다 전기요금은 정부서 정하는 것”
“배당도 못하고, 주가는 반토막 났으니…. 올 게 왔다는 생각이 들었다.”
최근 주주들로부터 손해배상 소송을 당한 김쌍수(사진) 한국전력공사 사장. 그는 “이런 사장이 나 하나로 끝나길 바란다”며 속내를 털어놨다. 임기 만료를 이틀 앞둔 25일 기자간담회 자리에서다. 소액주주들은 “한전의 전기요금이 원가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인상돼 회사가 2조8000억원의 손해를 입었고 이는 김 사장이 적극적으로 전기요금 인상을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김 사장을 상대로 주주대표소송을 낸 상태다. 회사가 입은 손해를 김 사장이 배상하라는 요구다.
실제 김 사장의 재임 기간에 한전은 내리 대규모 적자를 냈다.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영업적자가 6조1000여억원, 올해 역시 흑자 전환이 어려울 전망이다. 주요 원인은 원가에 못 미치는 전기요금이다. 요금 인상률이 연료비 상승 폭을 따라가지 못하면서 전기요금 원가 회수율은 현재 90.3%에 그치고 있다.
그는 “주주들에게 죄송하다”면서도 ‘사장 책임론’에는 억울해 했다. 전기요금 인상은 한전 이사회의 요청에 따라 지식경제부 전기위원회가 심의한다.
이에 대해 김 사장은 “제도와 실제 운영은 다르다. 제도대로 했다면 내가 사장 자리에 남을 수 있었겠는가”라고 말했다. 사실상 지경부와 기획재정부의 협의로 인상률이 결정되는 현실을 지적한 것이다. 그러면서 “엄밀히 따져 만약 우리(내가)가 패소하면 정부를 향해 소송할 수 있다”는 말도 했다.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 쓴소리도 적잖이 했다. 그는 “한전은 상장회사이니 주주가치를 생각하며 경영할 수 있도록 해야지 공기업이니 적자가 나도 된다고 말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임기를 얼마 안 남긴 시점에 사표를 낸 것에 그는 “후임자가 결정되지 않아 관련법상 임기가 끝나도 계속 근무하게 돼 있다”면서 “소송을 당해 식물 사장이나 마찬가지인 상황에서 어떻게 자리를 지키겠나 싶어 사표 제출을 결심했다”고 설명했다. 김 사장 퇴임 이후 한전은 당분간 김우겸 부사장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조민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