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면이 깎이는 일이나 아니꼬운 일을 당해 부끄럽다는 의미를 나타낼 때 이처럼 ‘챙피하다’는 말을 자주 쓰곤 하나 ‘창피하다’가 바른말이다.
‘챙피하다’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창피하다’에 비해 자연스럽게 발음되기 때문이다. ‘창피하다’에서 ‘ㅣ’ 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말이 ‘챙피하다’다. 즉 ‘창’이 뒷말에 있는 ‘ㅣ’ 모음의 영향을 받아 ‘챙’으로 발음되는 현상이다. 그러다 보니 ‘챙피하다’가 ‘창피하다’보다 편리하게 발음된다.
하지만 맞춤법은 ‘ㅣ’ 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말을 방언으로 보아 원칙적으로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창피하다’를 ‘챙피하다’로 적으면 틀린 말이 된다.
‘애기’ ‘에미’ ‘손잽이’ 등도 ‘ㅣ’ 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나기 전의 형태인 ‘아기’ ‘어미’ ‘손잡이’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김현정 기자
▶ [우리말 바루기]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