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회사 500개 이상 차려 영업
중국 등에 유통시킨 13명 적발
경찰은 이 전화기들이 서울 대림동과 가리봉동 등 차이나타운 일대에 대량으로 팔려나간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유통된 대포폰들이 보이스피싱이나 쓰레기(스팸) 문자 발송, 불법 도박, 성매매 등 범죄에 쓰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조사 결과 양씨 등은 법인 설립 절차가 대폭 간소화되자 그 틈새를 파고든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상법이 바뀌면서 100원만 있어도 법인을 세울 수 있게 된 점을 악용한 것이다. 명의만 빌려주는 ‘바지 사장’이 법인 수십 개를 세우고 대표이사, 감사, 이사 명의를 번갈아 올리는 방식으로 500개가 넘는 법인을 설립했다. 2008년부터 유심(USIM·가입자 식별 모듈)칩의 잠금 기능이 해제됨에 따라 칩만 갈아 끼우면 기기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게 된 것도 이들의 범행에 도움을 줬다.
경찰은 “유령회사로 인한 피해 사례가 느는데도 이동통신사 간 자료를 공유하지 않고 있다”며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방송통신위원회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심서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