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회동 이후 앞날은
양측이 밝힌 ‘이명박 정부의 성공과 정권 재창출을 위한 협력’은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국정 동반자가 되지 않고선 이룰 수 없는 목표다. 당장 두 사람이 부딪칠 현안은 없다. ‘동반자’는 이 대통령이나 박 전 대표 모두에게 절실하다.
이 대통령은 이미 박 전 대표의 반대로 세종시 수정법안이 국회에서 부결되는 것을 목격했다. 하지만 그에겐 다른 중요한 현안이 많다. 25일로 임기 반환점을 도는 상황에서 4대 강 사업 문제를 비롯해 돌파해 나가야 할 안건이 한둘이 아니다. 천안함 사태로 촉발된 남북 긴장 관계도 풀어야 한다.
박 전 대표의 입장도 크게 다르지 않다. 대통령이 후계자를 만들 순 없어도 못 되게는 할 수 있다는 것이 정치권 속설 중 하나다. 만일 두 사람의 관계가 동반자급으로 격상된다면 친이계 차기 주자가 난립하는 상황이 박 전 대표에겐 득이 될 수도 있다. 이 대통령이 중립 입장에 선다면 당내 친이그룹 일부가 박 전 대표 쪽으로 월경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가 중국특사뿐 아니라 대북특사를 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얘기까지 나온다. 이날 회동에선 남북 관계를 비롯한 국제 정세를 놓고 심도 있는 의견 교환이 있었다고 양측은 설명하고 있다. 박 전 대표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만났던 여권의 유일한 인사다. 그간 정치 전면에 나서지 않고 있던 박 전 대표로선 활발히 움직일 공간이 필요한 상황이기도 하다.
강민석·남궁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