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경기도의 한 주차장에서 배터리 충전 중이던 코나 전기차(EV)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3/05/4e661c6b-fc70-40f9-a260-a1a7df0b22b1.jpg)
지난해 10월 경기도의 한 주차장에서 배터리 충전 중이던 코나 전기차(EV)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연합뉴스]
충당금, 실적에 반영해 동시 공시
현대차 “대상 차량 배터리 다 교체”
LG “배터리 제조사로 책임 다할 것”
전기차 리콜비 대당 1300만원 추산
현대차는 2017년 11월부터 2020년 3월까지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 난징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장착한 코나 EV와 아이오닉 EV, 일렉시티 버스 등 2만6699대를 리콜하기로 지난달 결정했다. 해당 차량의 수출 물량 5만5000여 대를 합하면 리콜 대상은 약 8만1000대로 추정된다.

코나 EV
앞서 국토부는 지난달 24일 2019년 이후 잇달아 발생한 코나 EV 화재 사고에 대해 ‘배터리 셀’ 불량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국토부는 “리콜을 진행한 코나 EV 차량 중 일부에서 셀 제조 불량(음극탭 접힘)으로 인한 내부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LG에너지솔루션은 당시 “원인 규명 등 조사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난징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GM 볼트 등 여러 업체에 공급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현대차보다 LG에너지솔루션의 리콜 분담금 비중이 더 크다는 점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그간의 입장을 바꿀지 주목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 사고에 대한 책임 소재와 리콜 비용 분담을 놓고 글로벌 4위 전기차 완성차업체인 현대차와 세계 1위 배터리 제조사인 LG에너지솔루션이 벌인 갈등은 전 세계 자동차·배터리업체의 주목을 받았다. 이 같은 분쟁의 전례가 없었던데다 리콜 비용이 1조원에 이른다는 점 때문에서다.
컨설팅업체 알릭스파트너스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자동차 한 대당 평균 리콜 비용은 약 500달러(약 55만원)였다. 하지만 이번 리콜 비용을 보면 전기차의 경우 특히 배터리 교체비가 대당 약 1300만원으로 추산된다.
김영주 기자 humanest@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