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윤석열 검찰총장. 연합뉴스
새 총장 인선 이어 검사 인사 잇따를 전망
“정권에 순응하는 새 총장 발탁 가능성”
이에 따라 친정권 성향으로 꼽히는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이나 김오수 전 법무부 차관 등이 새 총장 후보로 물망에 오르내리고 있다.

2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
월성원전, 울산시장 선거개입 제동 걸리나
검찰은 지난달 9일 백운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대한 구속 영장이 기각된 이후 영장 재청구를 검토 중인데, 여권의 거센 압박에 더해 ‘윤석열 부재’ 리스크까지 걸림돌로 작용하게 됐다. 결국 채희봉 전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 등 청와대 윗선으로 수사 확대는 어려워질 수 있다.
아울러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변필건)가 수사 중인 ‘청와대 울산시장 선거개입’ 사건과 관련 이진석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기소 여부는 물론 중앙지검 형사5부(부장검사 이동언)가 수사하고 있는 ‘이용구 법무부 차관의 택시기사 폭행사건 무마 의혹’, 수원지검 형사3부(부장검사 이정섭)가 수사하는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불법 출국금지 의혹’ 등이 윤 총장 사퇴로 직격탄을 맞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는 사건들이다.
신임 검찰총장으로 누가 오는지와 상관없이 주요 수사의 지연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 고위 검사는 “새 총장 임명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데, 그 기간 일부 수사와 관련된 의사 결정이 미뤄질 수도 있다”고 밝혔다.
정권에 유리 한명숙 사건 감찰은 탄력 예상
임 연구관이 관련 감찰을 수사로 전환한 뒤 한명숙 사건 당시 수사팀 검사 등을 기소하면 한 전 총리의 정치자금 수수 혐의 사건도 재평가되고 여권에 유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권에선 한 전 총리에 대한 대통령 사면이나 재심 청구를 통해 무죄 선고를 받은 뒤 한 전 총리의 명예를 회복시킬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김민중 기자 kim.minjoong1@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