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해용 경제정책팀장
‘탈(脫)원전’을 선언한 문재인 정부에서 신재생에너지 확대의 ‘총대’를 맨 게 태양광·풍력발전이다. 하지만 이처럼 관리·운영상 예상외의 ‘복병’이 나타나곤 한다. 가장 큰 취약점은 날씨·기후변화에 대응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태양광은 야간이나 흐린 날, 눈이 올 때는 전력을 생산할 수 없고 풍력은 바람량이 유동적이라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힘들다”(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의미다.

피크시간대 발전원별 점유율.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이런 한계를 고려하지 않고, 태양광·풍력을 무턱대고 늘리다가는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지난달 미국 텍사스주 대정전 사태가 한 예다. 발전 비중이 큰 풍력·태양광이 혹한과 폭설로 멈춰버리며 위기를 키웠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풍력·태양광이 하루에 24시간, 일주일에 7일간 전력을 제공할 수 없는데도 재생에너지에 대한 믿음이 너무 컸다”고 지적했다.
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늘리는 건 필요하다. 하지만 이는 전력 인프라의 변동, 에너지저장장치(ESS) 확대, 축소되는 에너지원 설비의 운영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고차 방정식이다. 국가 전력공급의 약 절반(2020년 46.3%)을 공급하는 원전·석탄발전은 ‘절대 악’, 신재생에너지는 ‘절대 선’이라는 이분법적으로 접근해서는 해답을 찾을 수 없다.
손해용 경제정책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