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구 정치에디터
문 대통령 ‘가덕도신공항 드라이브’
양이·윤, 금태섭 경고 재연 관심
징계해도, 안 해도 본질 안 달라져
문 대통령 숙원은 다음날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좀 더 가까워졌다. 찬성 181표, 반대 33표, 기권 15표. 여당에서 찬성 몰표가 쏟아진 결과다. 눈길을 끈 건 민주당에서 나온 기권표 둘이다. 문 대통령이 앞장서고 정부·여당 수뇌부가 총출동한 가덕도 드라이브. 여기에 합승을 거부한 여당 의원이 나왔다니. 민주당 양이원영 의원과 윤미향 의원이 기권표를 던진 사유는 “환경오염 걱정”으로 모아진다.

더불어민주당 윤미향·양이원영 의원(왼쪽부터)이 지난해 10월 7일 국회 환노위 국감에서 나란히 자리했다. 오종택 기자
‘검찰개혁 시즌1’ 결과물인 수사권 개혁 안착을 주문한 게 속도조절 취지가 아니면 뭐란 말인가. 이해할 수 없는 궤변에 남인순 민주당 의원이 떠오른 건 나뿐일까. 박원순 전 서울시장 사망 전날 서울시 인사에게 연락해 성추행 피소 가능성 유출 의혹이 일자 “불미스러운 일이 있나 물었을 뿐 피소 사실 유출은 아니다”고 부인했던 남 의원 말이다. “‘술 먹고 운전은 했지만 음주운전은 아니다’는 건가”라는 비아냥을 샀던 남 의원은 결국 피해자에게 사과했다.
속도조절 논란을 두고 여권에선 ‘조절’보단 ‘속도전’을 독려하는 목소리가 더 커질 것 같다. ‘친문 호위무사’라던 정청래 민주당 의원이 “대통령 임기는 1년 남았고 21대 국회는 임기가 1년 지났다. 생각이 다를 수 있다”며 지는 권력, 뜨는 권력을 거론한 게 인상적이다. 원팀 속 한목소리 일색이던 그들 사이에서 ‘다른 목소리’가 분출하고 있는 건 분명해졌다. 사실 철권통치, 개인숭배가 체제유지 수단인 공산당이 아닌 이상 다른 목소리가 없다면 오히려 비정상이다.
이제 시선은 양이·윤 의원의 ‘운명’을 향한다. 2019년 말 공수처 설치법안 표결 때 민주당에서 유일하게 기권했던 금태섭 전 의원 사례와 포개지면서다. 금 전 의원은 소신대로 기권했다가 당론 위배행위라는 이유로 ‘경고’ 징계를 받았고 이후 탈당했다.
양이·윤 두 의원은 얼마 전 “법무장관으로 있지만 기본적으로 민주당 의원”이라고 ‘커밍아웃’ 했던 박 장관 화법을 빌자면 “민주당 의원이지만 기본적으로 환경운동가, 여성운동가”라 하겠다. 그런 두 의원도 금 전 의원처럼 당의 냉엄한 심판을 받게 될까. 일각에선 출신성분이 주류와 비슷한 사람들이란 점을 들어 유야무야 될 거란 얘기가 나온다. 실제로 어물쩍 넘어간다면? 민주당이 끼리끼리 뭉친 그들만의 결사체라는 일부의 가설이 공인되는 사례가 될 것이다. 만일 민주당이 금 전 의원 때처럼 수위 높은 징계 카드를 빼 든다면? 그렇다 해도 민주당의 본질이 달라지진 않는다고 생각한다. 원팀이란 구호 앞에 당내 이견을 용인하지 않는 전체주의적 정당의 속성을 또 한번 보여주는 사례밖에 더도 덜도 아니니까.
김형구 정치에디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