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텍사스에 찾아온 겨울폭풍으로 대규모 블랙아웃이 발생했지만 가정용 ESS를 설치한 주택은 정전을 피할 수 있었다. [사진 트위터 캡처]](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3/02/314ab0d5-801e-4506-8f5f-5aa8d51b76a6.jpg)
미국 텍사스에 찾아온 겨울폭풍으로 대규모 블랙아웃이 발생했지만 가정용 ESS를 설치한 주택은 정전을 피할 수 있었다. [사진 트위터 캡처]
국내선 잇단 화재로 안전성 우려
정책 지원 끊기며 업계 고사 직전
“친환경 에너지에 필수적인 장치”
ESS는 2019년 초반까지만 해도 국내에서도 유력 산업군으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ESS 사업장에서 30건 가까운 화재가 이어지면서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했다. 이후 정부는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두 차례 조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1년 가까운 조사에도 정부는 화재 원인을 명쾌하게 짚어내지 못했다. 그런 가운데 ESS 산업에 대한 정책 지원은 끊어졌다. 예산 지원은 일몰제를 이유로 연장되지 않았다. 한창 성장하던 산업이 정부의 소극적인 행정으로 멈춰섰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ESS 업계는 집단행동에 돌입했다. 30여개 중소기업이 참여한 한국ESS협회는 지난달 20일 창립총회를 열고 정부에 산업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협회는 선언문에서 “(ESS 업계를) 파산 위기로 몰아넣고 있는 산업통상자원부를 상대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저항할 것”이라며 “정부가 ESS 우대 정책으로 유혹한 뒤 화재 위험을 빌미로 찬밥 대우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 문승일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태양광·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해 ESS는 필요가 아니라 필수”라며 “친환경 에너지 정책에 힘을 주면서 ESS를 포기한 건 자기모순”이라고 지적했다.
강기헌 기자 emckk@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