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7일 경기 구리시 갈매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교육부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이 처음 적용되는 올해 초등 6학년이 대입을 치르는 2028학년도부터 대입제도는 크게 바뀐다. 예상되는 변화는 크게 세 가지다. 수능 문제, 수능 성적 산출 방식, 대입 전형 요소다. 교육부는 2028학년도 대입 개편안을 2024년 2월까지 내놓을 예정이다. 현행 법령에 따르면 대입 제도의 변경은 4년 전에 공표해야 하기 때문이다.
'미래형 수능' 서술형, 절대평가 전환 가능성
교육부는 아직까지 '미래형 수능'의 구체적 방향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기존의 객관식 체제를 벗어나겠다는 뜻은 여러차례 밝혔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7일 “고교학점제 도입이 오지선다 수능 문제로 상징되는 획일적인 교육과 경쟁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는 계기 될 것”이라며 서술‧논술형 수능에 힘을 실어줬다.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국가교육회의 김진경 의장도 이달 초 언론 인터뷰에서 “대입시험에서 서술‧논술형 문항 도입은 국제적인 추세고, 우리도 고민해야 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수능 절대평가를 도입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마다 수강 과목이 제각각인데, 현재처럼 수능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면 학점제를 도입해도 수능 과목만 치중하는 문제가 있다. 제도를 바꿔도 수능이 있는한 고3 교실이 수능 준비를 위한 문제풀이식으로 운영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교육계에선 이런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수능을 절대평가로 바꿔 영향력을 낮출 가능성이 제기된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7일 오전 경기도 구리 갈매고등학교에서 열린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 브리핑을 마친 뒤 학교를 둘러보고 있다. 뉴스1
수시제도 변화…대학별고사 늘어날수도
수능과 내신 모두 변별력이 약화될 경우에는 또 다른 대입 전형 요소가 늘어날 수 있다. 논술‧구술 같은 대학별 고사가 대표적이다. 수험생으로서는 또 다른 부담이 커지는 셈이다. 서울 한 사립대의 입학사정관은 “내신‧수능이 모두 절대평가로 바뀌는데 대학별 고사도 치르지 못하면 학생을 추첨으로 뽑는 거나 마찬가지”라며 “‘깜깜이’ 선발이 되기 때문에 대학은 어떤 식으로는 전형 요소를 확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부모들 사이에선 대입이 더 복잡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초등학교 3학년 딸을 키우는 김모(39‧서울 송파구)씨는 “현 정부에서만 벌써 대입제도가 몇 번 달라졌는지 모르겠다”며 “매번 달라지는 대입제도 때문에 어느 장단에 맞춰 교육을 해야 할지 난감하다”고 말했다.
최근 재수생 비중이 계속 늘고있지만, 2028학년도에 대입 제도가 크게 바뀌면 재수생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입시제도가 크게 달라질 때마다 재수생은 줄어드는 추세를 보여왔다”며 “대입제도가 마련되는 과정은 물론, 도입 후에도 적지 않은 혼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jeon.minhee@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