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기획재정부와 더불어민주당 등에 따르면 자영업자ㆍ소상공인에 대한 손실보상법 제정은 최대 100조원에 가까운 막대한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지가 관건이다. 방안 중 하나로 정부가 적자 국채를 발행하면 한국은행이 발권력을 동원해 이를 매입하는 방식(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안)이 거론되고 있다.
![자영업자 손실보상제에 돈 얼마나 드나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강훈식·민병덕 의원실, 기획재정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26/93154fe4-0935-433f-93fc-eac1d99c571f.jpg)
자영업자 손실보상제에 돈 얼마나 드나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강훈식·민병덕 의원실, 기획재정부]
이는 정부가 재원 확보를 위해 국채를 발행하고, 한은이 발권력을 동원해 이 국채를 직접 인수(직매입)하는 방식이다. 중앙은행에서 찍어낸 돈이 정부 ‘금고’로 이동하는 구조다.
재정-통화정책 분리 원칙에 위배
한국은행도 선을 긋고 있는 상황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해 10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부 부채를 뒷받침하는 부채의 화폐화에 나설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국은행은 국내 채권시장이 성숙하기 전인 1994~95년을 마지막으로 25년간 국채 직매입을 하지 않았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적자 국채를 한은이 인수하면 유동성이 늘어나는데 지금도 과잉 유동성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그런 방식보다는 다른 분야 예산을 절약해 쓰는 등의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코로나 19 피해 소상공인 손실보상 관련 여야 발의 법안.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내가 낸 세금으로 왜 자영업자 지원하나?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예컨대 자영업자만을 대상으로 한다면, 자영업과 연관된 영세기업 등 일반 기업의 피해를 무시한다는 형평성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라고 짚었다.
‘사회 전체를 위해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는 취지의 이익공유제는 큰 틀에서 기업이 참여하는 ‘기금’ 형태로 진행될 전망이다. 정부가 공적자금을 일부 출연하고, 나머지를 기업이 자발적으로 충당하는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기업이 기금에 돈을 내면 일정 수준만큼 세금을 깎아준다.
이익공유제, '자발'이라 쓰고 '강제'로 읽힌다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익공유제를 추진할 경우, 국내기업에 한정된 준조세처럼 작용해 외국 기업과 다른 출발선에서 경쟁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이미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보이는 외국기업과의 경쟁에서 국내 기업이 더욱 불리해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