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판 귀멸의 칼날:무한열차편'. 오니에 맞서 싸우는 탄지로. [사진 에스엠지홀딩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26/34268b15-6c92-415a-b328-a5f5b1387f4c.jpg)
'극장판 귀멸의 칼날:무한열차편'. 오니에 맞서 싸우는 탄지로. [사진 에스엠지홀딩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하기 시작한 지 거의 1년이 됐다. 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사람이 급감했다. 한국에서는 거의 매년 나왔던 1000만 영화는커녕 지난해 흥행 1위 ‘남산의 부장들’도 관객 수 500만명 이하였다.
27일 한국 개봉 '극장판 귀멸의 칼날...'
지난해 일본 역대 흥행성적 1위 올라
19년만에 '센과 치히로...' 기록 깨뜨려
그런데 일본에서는 지난해 10월에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이하 '귀멸의 칼날', 한국 개봉 27일)이 역대 흥행기록을 경신했다. 한국에선 흥행에 대해 주로 관객 수로 말하지만, 일본에선 주로 흥행수입으로 말한다. 영화 ‘귀멸의 칼날’은 흥행수입이 이달 중순 기준으로 361억엔(3834억 원)을 돌파했고 관객 수는 2644만명을 넘었다. 지금도 많은 극장에서 상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록은 더 늘어날 것이다.
19년만에 '센과 치히로...'흥행성적 앞질러
그전 흥행수입 1위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이 거둔 316억엔(3355억 원)이었다. 일본은 한국과 달리 흥행수입 상위권에 애니메이션이 많다. 해외 영화를 제외한 역대 흥행수입 3위는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너의 이름은.’(2016), 4위와 5위는 각각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모노노케 히메’(1997)와 ‘하울의 움직이는 성’(2004)으로, 1~5위까지 모두 애니메이션이다.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오니가 되어버린 여동생 네즈코. [사진 에스엠지홀딩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26/39c140c0-5d4b-41cc-9b1b-d49b5628b41e.jpg)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오니가 되어버린 여동생 네즈코. [사진 에스엠지홀딩스]
내용은 다이쇼 시대의 일본을 무대로 주인공 카마도 탄지로가 다른 귀살대 대원들과 함께 오니(귀신)와 싸우는 이야기다. 탄지로는 여동생을 다시 인간으로 되돌리려고 싸운다. 오니가 탄지로의 가족을 죽이고 여동생을 오니로 바꿔버린 것이다. 극장판에는 이러한 자세한 배경은 안 나온다. 극장판은 승객 40여명이 행방불명된 무한열차에서 오니와 귀살대가 싸우는 부분을 그렸다.
코로나로 집콕 증가...원작만화 인기 더해
극장판의 폭발적인 인기 이유 중 하나는 코로나의 영향이다. 집에서 지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만화나 TV를 보는 시간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만화 ‘귀멸의 칼날’은 2016~2020년 만화잡지 ‘주간 소년 점프’에서 연재되고, 단행본으로 23권까지 나와 도합 1억 2000만부가 발행됐다.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2019년 4~9월 총 26회가 방송된 후에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로 시청하는 사람이 많았다.
!['귀멸의 칼날' 원작만화는 일본에서 1억 2천만부가 발행됐다. 한국에도 번역출간됐다.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26/db12a8e0-3852-4f54-ac05-a2aa3f4ae11a.jpg)
'귀멸의 칼날' 원작만화는 일본에서 1억 2천만부가 발행됐다. 한국에도 번역출간됐다. [로이터=연합뉴스]
![만화 '귀멸의 칼날' 한국어판 표지. [사진 학산문화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26/32124ba5-8758-4593-8574-5bb75861b668.jpg)
만화 '귀멸의 칼날' 한국어판 표지. [사진 학산문화사]
어른도 "울었다"...현대사회 비판 담았단 분석도 나와
나는 처음에 ‘귀멸의 칼날’을 아이들 사이에서 인기 많은 작품 정도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어른들도 많이 보고 “울었다”는 사람도 많은 걸 알고 보러 갔다. 원작만화나 TV 시리즈를 안 본 상태여서 전체 이야기는 몰랐지만 영화만으로도 이해하기 힘든 내용은 아니었다. 특히 액션 장면의 묘사는 박진감 넘쳤고 애니메이션 대국 일본의 저력을 보는 듯했다.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귀살대에서 활약하는 렌고쿠. [사진 에스엠지홀딩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26/9873289c-3245-4a3e-853d-1e4bfbd1ce1a.jpg)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귀살대에서 활약하는 렌고쿠. [사진 에스엠지홀딩스]
절묘한 개봉 시기, '스크린 독점'도 한몫
한편 2020년 일본 극장가 전체 흥행수입은 1350억엔(1조 4335억 원) 정도로 집계될 전망이다. 이는 2019년의 50% 정도 수준이다. ‘귀멸의 칼날’의 대히트를 감안하면, 코로나 이후 다른 작품들의 흥행은 대부분 힘들었다고 볼 수 있다. 일본은 애니메이션을 빼면 원래 할리우드를 비롯한 해외 작품의 흥행수입이 많은 편이다. 당분간은 해외 작품들의 개봉 연기 등으로 극장은 힘든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인간의 꿈을 조종하는 치명적 기술을 가진 엔무.[사진 에스엠지홀딩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26/5336b09c-02fe-4c5d-b06f-232255c01423.jpg)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인간의 꿈을 조종하는 치명적 기술을 가진 엔무.[사진 에스엠지홀딩스]
나리카와 아야 전 아사히신문 기자
▶나리카와 아야(成川彩)=2008~2017년 일본 아사히신문에서 주로 문화부 기자로 활동했다. 이후 동국대 영화영상학과 석사과정에서 영화를 공부했다. 현재 한국과 일본의 여러 매체에 영화 관련 글을 쓰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