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대출 분활상환 4가지 이슈]

5일 서울시내 한 은행 대출창구를 찾은 고객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①왜 신용대출만 조이나
이를 두고 금융권에서는 신용대출 급증 배경에 주담대 규제의 풍선효과가 있는 만큼, 주담대 규제를 일부 완화해야 신용대출 급증이 잡힐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집값 잡기'에 몰두한 부동산 정책 흐름상 금융당국이 결정하기 쉽지 않은 문제다. 은행권 관계자는 “대출문제는 복잡하게 얽혀있는데, 빚투 등의 문제로 인해 금융당국에서는 신용대출 잡기에 몰입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신용ㆍ전세대출이 끌어올린 가계대출.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②고액 신용대출의 기준은, 1억원? 연봉 이상?
다만 금융당국은 1억원 등 구체적인 액수에 대해 “정해진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은 금액 기준을 획일화하지 않고 연봉 등에 따라 별도의 기준을 정하는 방안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신용대출 중 소득을 초과하는 일정 부분에 대해서만 상환을 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예컨대 연봉이 8000만원인 직장인이 1억원의 신용대출을 받을 경우 2000만원에 대해서만 분할상환을 하게 하는 방안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현재 어떤 기준으로 의무상환을 적용할지 검토 중”이라며 “시장충격 등을 고려해 최초 적용 기준은 높게 잡은 후 시간을 갖고 단계적으로 기준 금액 내리는 방안 등 여러 가지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지난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2021년 금융위원회 업무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③기존 신용대출에도 적용 안 돼
한도 약정 대출 방식인 마이너스 통장 역시 적용 대상이 아니다. 한도를 정해놓고 필요할 때 쓰는 방식이라 분할 상환 개념을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입장이다.

금융위원회가 19일 업무계획에서 밝힌 신용대출 분할상환 의무화 관련 내용. 금융위원회
④분할상환 대세되는 금융시장
다만 고액 신용대출이 아니더라도 향후 분할상환이 적용될 때를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정부는 2015년 가계부채 종합 관리 방안 등 가계부채 관련 대책을 내놓을 때마다 분할상환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주담대 분할상환 비중 목표치는 지난해 기준 57.5%다. 2015년 6월 말에는 분할상환 비중이 33% 수준이었다. 금융당국도 전세대출도 분할상환 상품 출시를 장려하고 있다.
서병호 연구위원은 ‘2021년 은행 산업 전망과 경영과제’에서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의 분할상환 비중을 확대해 차주의 자발적 디레버리징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