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맨다 고먼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식에서 자작시 ‘우리가 오르는 이 언덕’을 낭송하고 있다. [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22/0006baa6-930a-4965-b328-336c1f4eb13e.jpg)
어맨다 고먼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식에서 자작시 ‘우리가 오르는 이 언덕’을 낭송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바이든도 어릴 적 말더듬 고생
질 여사가 천거, 최연소 축시 낭독
고먼 “의회폭동 보며 밤새 시 완성”
“2036년 대선 나갈 것” 당찬 포부
고먼은 10대였던 2017년 미국 젊은 시인상을 받았고, 하버드대에서 사회학을 전공했다. 시 낭독 전 자신을 “노예의 후예”라고 소개한 그는 인종차별 철폐와 페미니즘 활동가이기도 하다. “쩨쩨한 사람들의 편견에 갇히기 싫다”며 “2036년엔 미국 대통령 선거에 후보로 나서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2036년에 그는 37세다.
고먼과 바이든 대통령은 닮은꼴이다. 둘 다 어린 시절 말을 더듬는 장애를 극복했다. 고먼은 취임식 당일 실린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어린 시절 청각 장애로 말을 더듬었다. 사람들이 나를 나이지리아에서 막 이민 온 아이로 여기곤 했다”고 말했다. 고먼은 부단한 연습으로 어려움을 극복했다.
글쓰기 재능은 장애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찾아낸 축복이다. 고먼은 지난해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말을 하는 게 어려웠기 때문에 글 쓰는 데 집중했다. 하지만 여성으로서 글쓰기로 생계를 이어갈 수 있을지 고민도 많이 했다”고 말했다.
축시를 쓰는 건 당찬 22세에게도 쉽지 않았다. 통합이라는 메시지는 바이든 대통령 측에서 제시했고, 고먼은 처음엔 쉬울 것이라 생각했다고 NYT에 말했다. 그러나 며칠이 지나도 한 줄을 쓸 수 없었다고 한다. 고먼은 NYT에 “좋은 글을 써야 한다는 압박이 너무 강했다”고 털어놨다.
그러다 지난 6일 의회 폭동이 터졌다. 시위대가 의회를 점거하고 창문을 부수며 포효하고, 경찰이 희생되는 장면을 보며 고먼의 손가락은 키보드 위에서 춤추기 시작했다. 그는 그날 밤을 새워가며 시를 완성했다고 한다.
우리가 오르는 이 언덕(축시 일부 발췌)
우리는 나라를 함께 공유하지 않고
나라를 찢으려는 힘을 목도했다.
…
그러나 민주주의는 잠시 멈출 수는
있어도, 영원히 패배할 수는
없다는 것 역시 목도했다.
…
그날이 오면,
우리는 불타오르는 그림자에서
두려움 없이 걸어 나오리라.
새로운 새벽은
우리가 스스로를 자유케 하리라.
빛은 언제나 존재한다.
우리가 그 빛을 직시할 용기가 있고,
스스로 그 빛이 될 용기가 있다면.
나라를 찢으려는 힘을 목도했다.
…
그러나 민주주의는 잠시 멈출 수는
있어도, 영원히 패배할 수는
없다는 것 역시 목도했다.
…
그날이 오면,
우리는 불타오르는 그림자에서
두려움 없이 걸어 나오리라.
새로운 새벽은
우리가 스스로를 자유케 하리라.
빛은 언제나 존재한다.
우리가 그 빛을 직시할 용기가 있고,
스스로 그 빛이 될 용기가 있다면.
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