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11월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윤석열 검찰총장이 청와대에서 열린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인사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최근 '추윤갈등'에도 윤 총장에 대해 "문재인 정부의 검찰총장"이라고 말했다. 정가에선 "대통령이 그의 정치행보를 에둘러 견제한 것"이란 말이 나왔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검찰 수사권 박탈을 서두르는 건 과유불급일 수 있다.”(21일 더불어민주당의 한 법제사법위원)
‘검찰개혁 시즌2’를 별렀던 민주당 내 기류에 미묘한 변화가 감지됐다. 지난해 말 윤석열 검찰총장를 겨냥하며 검찰 수사권 조기 박탈 논의가 가열됐지만 최근 신중론으로 돌아서는 분위기가 역력해졌다.
터닝포인트는 문재인 대통령의 18일 신년기자회견 발언이다. 문 대통령은 “윤 총장은 문재인 정부의 검찰총장이다. 정치할 생각을 하면서 검찰총장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윤 총장을 감싸는 듯한 발언을 했다. 검찰개혁특위 소속 한 초선 의원은 “문 대통령의 발언 뒤 윤 총장 개인을 표적 삼은 제도 설계는 안 된다는 당내 분위기가 생겼다”고 말했다.
민주당 검찰개혁특위 비공개회의(지난 20일)에서도 검찰의 6대 범죄(부패·경제·공직자·선거·방위사업·대형참사) 수사권 조기 박탈 주장에 제동을 거는 의견이 나왔다. 특위 소속 한 재선 의원은 “다양한 검토와 숙고를 해야한다는 주장이 많았다”고 전했다.
힘 빠진 급진론

김용민 민주당 의원(왼쪽 셋째) 등이 지난달 29일 국회에서 공소청법 제정안과 검찰청법 폐지법률안 발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힘 받는 신중론

윤호중 민주당 검찰개혁특위 위원장(왼쪽)이 12일 국회에서 열린 4차 회의에 참석해 백혜련 의원과 대화하고 있다. 윤 위원장은 당시 검찰개혁안의 2월 내 발의, 6월 내 통과를 공언했다. 연합뉴스
단계적 절충안
다만 극성 친문 지지층이 장악한 민주당 당원게시판과 온라인 커뮤니티엔 “검찰의 수사권 폐지에 반대하는 의원들을 낙선시키겠다”라거나 “내부 적폐들 때문에 민주당이 174석을 갖고도 제대로 일을 못 한다”는 반발이 나왔다.
김효성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