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재건축 컨설팅을 받은 신반포19차가 있는 서울 서초구 잠원동 일대는 재건축이 활발한 곳이다. 일부는 재건축을 끝내 시세가 최고 3.3㎡당 1억원에 육박하는 최고급 아파트로 탈바꿈했다. 사진은 신반포19차 인근 신반포5차를 재건축한 아크로리버뷰신반포.
[안장원의 부동산노트]
공공재건축 컨설팅 강남 신반포19차, 용산 강변·강서
김성진 조합장, 박영준 조합장 인터뷰
공공정비사업 통합지원센터가 지난 15일 7개 단지 공공재건축 사전컨설팅 분석 자료를 발표하고 단지별로 설명회를 했다. 기존 방식보다 주택 수가 19% 늘고 조합원 분담금이 37% 감소할 것으로 봤다. 공공재건축이 사업비 부담을 낮추고 주택 공급도 늘리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셈이다. 통합지원센터 발표 자료는 ‘공공재건축의 매력’이라고 표현했다.
얼마나 매력적인지 김성진 조합장과 용산에시컨설팅을 받은 이촌동 강변·강서 박영진 조합장에게 물었다.
먼저 신반포19차는 1982년 준공한 242가구다. 2015년 재건축 추진위를 구성하고 2016년 조합을 설립했다.
- 현재 가능한 재건축 용적률(사업부지 대비 지상건축연면적 비율)이 300%인데 공공재건축하면 얼마로 올릴 수 있나.
- 500%까지 허용하겠다던 정부 발표와 다르지 않나.
- 용적률을 올리려면 건축 규제를 풀어야 하나.
- 공공재건축으로 분담금이 줄어들 텐데.

신반포19차
- 임대주택에 대한 반응은 어떤가.
- 용적률 상향에 따른 개발이익을 공공이 환수하지 말아야 하나.
- 공공재건축 불신이 크나.
(신반포19차는 공공재건축 대안으로 인근 신반포25차 등과 통합 재건축을 검토하고 있다.)
사업성 없는 용산 강변·강서
용산 강변·강서는 사정이 달랐다. 박영준 강변·강서 조합장은 “현재 방식으로는 재건축이 사실상 불가능해 돌파구를 찾을까 싶어서 신청했다.”고 말했다.
이 단지(184가구)는 50년 전인 1971년 지어졌다. 1992년 4월 조합설립까지 했지만 30년째 사업을 진척시키지 못하고 있다.
기존 재건축으로 집을 더 짓거나 늘릴 수 있는 여지가 없어서다. 현재 용적률이 296%다. 기존 재건축 방식으로 지을 수 있는 용적률 한도가 300%다. 용산에 현 용적률이 300% 안팎인 단지들이 강변·강서만이 아니다. 용산 아파트들이 지은 지 강남보다 오래됐지만 재건축이 활발하지 못한 이유다.
용산구청 관계자는 "이런 단지는 세대수나 면적 증가 없이 사업비 전액을 자기 부담으로 재건축해야 해 실익이 없다"고 말했다.
박 조합장은 “공공재건축이 용적률을 올릴 수 있다고 해 관심을 가졌다”고 말했다. 컨설팅 결과 용적률을 500%로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 규모가 67% 커지며 기존의 절반 정도인 85가구를 더 짓는다. 절반 정도를 임대로 공공에 기부하더라도 40가구 정도를 분양한 수입으로 사업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박 조합장은 “당장 공공재건축을 할지 결론을 내리기 어렵고 서울시에서 수립 중인 이 일대 재건축 계획(지구단위계획)도 봐야 한다”고 말했다. 안장원 기자 ahnjw@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