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1인 가구 증가세는 예전과 비슷
문재인 정부 들어서만 구매 늘어
집값 뛰자 1인 가구도 매수나선 것
①1인 가구 정말 급증했나=문 대통령의 말처럼 1인 가구 수가 늘어나고 있는 건 맞다. 하지만 이 발언엔 중요한 ‘팩트’가 빠져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1인 가구가 유독 많이 증가한 건 아니다.

연도별 1인 가구 수 추이.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문 대통령의 발언이 맞아떨어지려면 ‘1인 가구 증가→1인 가구 주택 구입 증가→수요 대비 공급 부족→집값 상승’이란 구도가 어떤 정권이냐에 상관없이 작동해야 한다. 그런데 1인 가구가 연간 20만명 가까이 늘어난 박근혜 정부 시절 집값이 지금처럼 많이 오르지 않았다.
②1인 가구가 집값 올렸나=통계청이 작성한 주택소유통계를 살펴보면 2016년 집을 가진 1인 가구는 전년 대비 4.9% 감소했다. 그해 전체 1인 가구 수는 20만명 가까이 늘었지만 이들의 주택 구매는 오히려 줄었다.

주택 소유한 1인 가구 수 증가.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전문가는 이런 통계를 근거로 문 대통령의 발언을 정반대로 나열해야 현실과 맞아떨어진다고 비판한다. ‘1인 가구의 주택 구매가 늘어서 집값이 올랐다’가 아니라 ‘집값이 올라서 (이전엔 집을 많이 안 사던) 1인 가구까지 주택 구매 행렬에 뛰어들었다’가 맞는다는 지적이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1인 가구가 늘었다고 해서 다 집을 사는 것도 아니고 그게 주택 가격 상승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도 없다”며“오히려 정부 부동산 정책으로 집값이 급등하자 자극받은 1인 가구들이 집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대통령이 원인과 결과를 거꾸로 말했다”고 강조했다.
세종=김남준 기자 kim.namju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