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7/c2970c5d-c4b5-46f4-9492-df47112cc4ff.jpg)
[AFP=연합뉴스]
![[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7/b71d0413-44f2-4fd3-89c2-283a3e7f2b51.jpg)
[AP=연합뉴스]
①블루웨이브발 규제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7/232f8e02-a408-477f-bd8e-95c92272fe07.jpg)
[로이터=연합뉴스]
이미 빅테크 기업은 당국의 압박에 직면한 상태다. 미 법무부와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지난해 이미 페이스북과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에 반(反)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애플과 아마존도 정부 소송을 걱정한다는 것이 WSJ의 전언이다. 미국 정부는 AT&T·마이크로소프트 등 거대기업에 대한 강력한 반독점 조치를 여러번 시행했다.
상황은 더 좋지 않다. 최근 벌어진 의회 폭동 사건 등과 관련해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 등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서다. WSJ은 “민주당 일각에선 최근 벌어진 의회 폭동 사건의 책임이 트위터·페이스북 등에 있다고 보고 강한 규제 법안을 주장한다”고 보도했다.
빅테크 업체 옥죄기는 미국만의 이슈도 아니다. 중국도 지난해 10월부터 알리바바·텐센트 등이 반독점법을 위반했다며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②코로나19로부터 해방
![[신화=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7/2b86f09a-3f2a-4868-b4ee-edad2887d7a6.jpg)
[신화=연합뉴스]
다만 지난해 급속하게 성장한 반작용은 생길 수밖에 없다. WSJ은 “전염병으로 인해 (빅테크 기업이) 기록적인 이익을 거두며 성장했다”며 “이는 올해는 역설적으로 실적 부진의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다”고 보도했다. 기저효과가 있다는 의미다.
백신 상용화에 따른 경기 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경기 부양책이 효과를 발휘하게 되면 물가가 오를 수 있고 그 결과 통화정책 등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상이나 채권 매입 규모를 줄이는 등 양적완화 축소에 나서면 빅테크 기업의 대출 이자 부담은 늘어날 수도 있다.
③사이버 보안
![[AF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7/8e9d5a89-f4ea-4dd1-8e69-7dee169d5fb4.jpg)
[AFP=연합뉴스]
해킹은 정부 기관만의 문제가 아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까지 지난해 12월 러시아로 추정되는 대규모 해킹 공격에 보안이 뚫렸다. 사이버 보안이 빅테크 기업의 안위를 위협할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 것이다. WSJ는 “회사 네트워크란 걸 잊고 넷플릭스 시청을 했다간 대규모 데이터가 유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④기술 민족주의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7/27bcf2ea-6f9d-4096-8b62-c2551950d745.jpg)
[로이터=연합뉴스]
WSJ은 “바이든 역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중 유용한 측면은 유지하려 할 것”이라며 “미국은 미국대로 중국은 중국대로 상대방에 의존하지 않는 독자 기술 개발에 몰두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첨단 기술에 대한 주도권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심화하고 '기술 민족주의'가 격화하면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듯 빅테크 기업의 어려움도 커질 수 있다.
⑤전기차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7/c6135c06-3d3a-4488-8fb7-535ca886bedd.jpg)
[로이터=연합뉴스]
관건은 인프라다. 커지는 수요에 비해 부족한 인프라가 탄력을 받은 성장세에 발목을 잡을 수 있어서다. WSJ은 “여전히 시장 수요보다 턱없이 부족한 전기 충전시설은 전기차 시장 성장에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평가했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g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