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본관에서 강창일 주일대사에게 신임장을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7/9afbcf43-ace4-4989-848f-efffdbd60c4b.jpg)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본관에서 강창일 주일대사에게 신임장을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신임 주일 대사 기자간담회
특히 “문 대통령이 스가 총리를 만나서 진솔한 대화를 나누겠다는 의지도 밝혔다”고 전했다. 강 대사의 발언은 양국간 역사 갈등과 관련한 질의응답 중 나온 것으로, 이는 문 대통령이 스가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통해 과거사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겠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여지가 있다. 복수의 외교 소식통과 일본 언론들에 따르면 박지원 국정원장은 지난해 방일 당시 일본 측에 한ㆍ일 갈등을 풀기 위한 해법으로 양국 정상의 통 큰 선언을 제안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과 스가 총리는 전화 통화만 한 차례 했을뿐 아직 공식 회담을 한 적은 없다.
강 대사는 2015년 12ㆍ28 위안부 합의에 대해 “핵심은 (합의에)‘불가역적’ ‘최종적’이라는 용어가 있는데 정부가 문제 제기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한국 정부는 2015년 12월 이후에 한 번도 문제 제기를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에 위안부 피해 문제를 외교적으로 제기한 적은 없으니, 합의를 지켜왔다는 취지다.
하지만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018년 1월 “피해 당사자인 할머니들의 의사를 반영하지 않은 2015년 합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진정한 해결이 될 수 없다”고 했다. 합의에 들어 있는 ‘최종적ㆍ불가역적 해결’을 사실상 부정한 것으로, 강 대사의 발언은 이와 결이 다르다. 도쿄 올림픽을 북핵 협상 재개의 계기로 삼으려는 정부가 한ㆍ일관계 개선에 마음이 급해 자기모순을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