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는 평택~오송 구간의 병목현상을 풀기 위해 지하에 복선터널을 새로 뚫을 계획이다. 사진은 수서역과 평택을 연결하는 율현터널.[사진 국토교통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7/97e3d4e4-f7de-48e8-9041-f8408bc0600b.jpg)
국토부는 평택~오송 구간의 병목현상을 풀기 위해 지하에 복선터널을 새로 뚫을 계획이다. 사진은 수서역과 평택을 연결하는 율현터널.[사진 국토교통부]
3조 7천억 투입, 2024년 완공 목표
터널 대피시설 뒤늦게 추가로 비용↑
기재부, 계획 타당성 재검토에 나서
"절차 늦어져 완공 2~3년 지연될 것"
그동안 경제성 부족 등의 이유로 성사되지 못하다가 2019년 1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추진이 가능해졌다. 예산으로 건설하는 재정사업으로 진행 중이다.
현재 서울역, 용산역과 수서역을 출발한 고속열차 KTX와 SRT는 평택 부근에서 만난다. 또 부산과 목포를 떠난 고속열차는 오송에서 합류한다. 그런데 고속열차가 몰리는 평택~오송 구간은 선로 용량이 필요량의 절반에 불과해 병목 현상이 생긴다. 운행 횟수를 못 늘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해결책은 평택~오송 구간에 복선철도를 하나 더 깔아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여러 노선에 고속열차를 더 투입할 수 있고, 최근 착공한 인천발·수원발 KTX의 원활한 운영도 가능해진다.
이 사업은 2019년 8월 기재부의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통과해 그해 11월 기본계획 수립용역에 착수했다. 하지만 구난시설에 발목이 잡혔다. '철도시설의 기술 기준'에 따르면 길이가 15㎞ 이상인 장대터널은 구난시설을 설치해야만 한다.
구난시설은 터널 내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승객을 대피시키고 구조하기 위한 구난 승강장과 비상 엘리베이터를 포함한 지상 연결터널 등을 말한다. KTX 천안아산역 지하에 이 시설을 설치하는 데 1900억원가량이 추가된다. 기재부가 적정성 재검토에 나선 이유다.
![길이 15㎞가 넘는 장대터널에는 승객 보호를 위해 구난승강장과 대피터널 등 구난시설을 갖춰야만 한다. 사진은 터널내 비상 대피훈련 장면.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1/17/34020986-84e4-4b67-80c3-efb5ca282075.jpg)
길이 15㎞가 넘는 장대터널에는 승객 보호를 위해 구난승강장과 대피터널 등 구난시설을 갖춰야만 한다. 사진은 터널내 비상 대피훈련 장면. [연합뉴스]
국토부는 재검토가 올 상반기 중 끝날 거로 전망한다. 그러나 사업 지연은 불가피해 보인다. 익명을 요구한 철도업계 관계자는 "재검토가 끝나더라도 기본계획 수립과 기본설계, 실시설계 기간을 고려하면 빨라야 2~3년 뒤에나 착공이 가능해 완공은 2027년 또는 2028년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업이 지연되면 병목 해소가 늦어지는 건 물론 2024년 말 개통예정인 인천·수원발 KTX 운영에도 적지 않은 지장이 생긴다. 인천·수원발 KTX는 각각 하루에 18회씩(편도기준) 열차를 운행할 계획이지만 선로가 부족해 상당 기간 이를 대폭 감축할 수밖에 없다.
또 인천·수원발 KTX를 일부라도 운행하려면 서울역과 용산역, 수서역에서 출발하는 고속열차의 운행횟수를 줄여야 하는 탓에 여러모로 열차 이용객의 불편은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김민태 국토부 철도건설과장은 "일부의 예상처럼 완공이 그렇게 많이 늦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