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란 혁명 수비대에 끌려가고 있는 한국 유조선. AFP=연합뉴스
카타르 국영 언론 알자지라는 한국의 이란에 대한 계좌 동결을 유조선 나포의 배경 중 하나로 언급했다. 한국 유조선의 억류 소식을 전한 알자지라는 '사이드 카팁자데 이란 외무부 대변인이 4일 "한국 고위 외교부 관리가 원유 수출대금 동결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이번 주 테헤란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카팁자데 대변인은 "이번 방문이 교착상태에 빠졌던 협상의 마지막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2018년 5월 이란과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탈퇴한 뒤 이란에 대한 제재를 복원했다. 미국의 동맹인 한국은 2차적 제재 등의 우려로 제재를 이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란과 교역이 사실상 중단됐으며, 한국 내 은행에 이란중앙은행 명의로 개설된 원화 계좌도 동결됐다.
이란은 지난해 7월 한국이 원유 수출대금 70억 달러(약7조5700억원)를 묶어놓고 있다며 한국을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은 이란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미국과 협의를 통해 인도적인 명분으로 지난해 5월 50만 달러의 의약품을 이란에 수출했다.
이해준 기자 lee.hayjune@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