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에 사는 교민 김충영(55)씨는 지난 6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멕시코시티의 ABC 병원에 입원했다. 3일 만에 폐렴이 악화한 김씨는 패혈성 쇼크 진단을 받았고 현지 의료진은 김씨 가족에게 치료가 어려우니 마음의 준비를 하라는 말을 건넸다. 김씨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은 폐이식뿐이었지만 현지에서는 수술이 불가능했다. 김씨의 아들 정재준(34)씨는 절박한 마음으로 서울아산병원 의료진에게 메일을 보냈다.
메일을 본 서울아산병원 폐이식팀은 멕시코 현지 의료진과 연락해 김씨의 상태를 파악했다. 폐이식 진행 가능성과 수술 후 회복 가능성이 낮은 상태였지만 김씨의 가족은 에어 앰뷸런스 전문 업체를 이용해 김씨를 이송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주멕시코 한국대사관도 이송 절차를 도왔다.

멕시코에 사는 김충영(55)씨는 지난 6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뒤 폐 기능이 손상돼 생명이 위독하다는 통보를 들었다. 김씨의 아들은 서울아산병원으로 메일을 보냈고 안전히 김씨를 우리나라로 옮겨 폐이식 수술에 성공했다. 제공 플라인닥터스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에 도착한 후 김씨는 바로 폐이식 대기자로 등록했지만 수술을 바로 할 수는 없었다. 폐이식은 뇌사자 기증 폐가 나오더라도 항원·항체 반응 검사를 통해 수혜자에게 맞는 폐인지 거부반응 여부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계속 이식 거부반응을 보이던 김씨는 9월 11일에야 이식 가능 판정이 나왔다.

20여명의 의료진이 10시간이 넘는 대수술을 한 끝에 김씨는 폐이식에 성공했다. 이후 폐기능이 예상처럼 회복하지 못하고 오랫동안 인공호흡기에 의존해야 했지만 적절한 중환자 치료와 재활치료를 받은 김씨는 8일 퇴원할 수 있었다. 제공 서울아산병원
아들 정씨는 “폐이식 진행이 불가능한 멕시코에서 다시는 어머니를 볼 수 없을 거라는 생각에 매일 지옥 같았다”며 “다시 건강을 회복하고 있는 어머니를 보니 꿈만 같다. 폐이식팀 의료진들의 따뜻한 마음이 깜깜했던 우리 가족의 앞날을 다시 밝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 폐이식팀이 2008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폐이식을 받은 환자 130명 이상을 분석한 결과 5년 생존율은 62%로 세계적인 수준이었다. 1년, 3년 생존율도 각각 78%, 67%로 그동안 간이나 심장 등 타 장기보다 생존율이 낮아 이식수술을 망설였던 말기 폐부전환자에게 희망의 메시지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충영씨(가운데)가 서울아산병원 폐이식팀 의료진들과 입국 100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제공 서울아산병원
홍상범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김씨는 이송 당시 워낙 위중한 상태였지만 폐이식 수술 후 환자와 모든 의료진의 철저한 관리를 통해 건강을 회복할 수 있었다. 특히 폐이식 후 중환자실과 병동에서 모든 간호사의 팀워크가 있었기에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다. 앞으로도 폐이식팀은 팀워크와 유기적인 다학제 시스템 구축으로 폐이식 환자들의 질 높은 통합관리를 이어가며 생존율을 높여갈 것이다”고 말했다.
이태윤 기자 lee.taeyu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