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6일 '대중부유층의 자산관리와 디지털 금융 이용 행태'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세전 가구 연소득이 7000만∼1억2000만원(가구소득 상위 10~30%)인 가구에 해당하는 전국 4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9~10월 진행한 설문조사를 바탕에 둔다.
부동산 자산 7600만원 증가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의 평균 총자산은 7억6500만원으로 파악됐다. 이 중 부채 1억1900만원을 제외하면 순자산은 평균 6억4600만원이었다.
총자산 중 부동산자산의 비율은 76.6% 금융자산 비율은 18.9%로 나타나 '부동산 편중' 현상이 지속됐다. 부동산자산은 6억9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7600만원(14.3%) 늘었다. 금융자산은 1억2600만원으로 2400만원(24.1%) 증가했다.

지난 3일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20.32포인트(0.76%) 오른 2,696.22에 장을 마감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는 모습. 뉴시스
주식 비중 늘고, 직접투자 뚜렷
이들 조사 대상자의 자산 구성에서 눈에 띄는 변화는 주식 비중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금융자산 중 예·적금 비중(45.0%)이 지난해보다 5.0%포인트 줄었다. 반대로 주식 비중(15.4%)은 3.0%포인트 늘었다.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한 이들의 숫자도 늘어났다. 지난해 주식 보유 응답자 수는 1862명이었으나, 올해 2099명으로 11.3% 증가했다. 그러나 펀드 등 간접투자상품과 파생결합증권 보유자는 각각 13.5%, 11.7% 줄었다. 직접 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 셈이다.
이들은 앞으로도 주식 비중을 지금보다 1.7%포인트 높여 금융자산 포트폴리오의 17.1%까지 확대한다고 응답했다. 예·적금 비중이 지금보다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대목이다.
특히, 저위험 투자 성향이 감소하고 고위험 추구 성향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는 점도 유념해야 할 부분이다. 지난해 안정추구형과 안정형은 약 60%를 차지했으나, 올해 이 비중은 41.2%로 축소됐다. 대신 적극투자형과 공격투자형이 33.7%로 지난해보다 10%포인트 확대됐다.
연구소는 시중 금리가 낮아져 이전 수준의 이익을 얻기 위해 위험 감수가 불가피해진 금융 환경 때문에 생긴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