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국정 지지율 조사서 37.4% 기록
문 대통령 “절차적 정당성 중요”
법무부 “윤석열 방어권 보장”
윤석열 직무배제, 징계추진 영향
호남·40대 빼곤 ‘부정평가’ 높아
청와대 “상황 엄중하게 보고 있다”
실제 이날 두 건의 여론조사가 공개됐는데, 둘 다 문 대통령에겐 사실상 ‘최악’이었다. 리얼미터는 TBS 의뢰로 11월 30일부터 지난 2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508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95% 신뢰 수준에 표본 오차 ±2.5%포인트).
진보·서울도 돌아섰다, 문 대통령 ‘콘크리트 40%’ 붕괴
![이용구 신임 법무부 차관이 3일 정부과천청사로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뉴시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04/4645f8b7-4ecc-488c-8987-c255330641be.jpg)
이용구 신임 법무부 차관이 3일 정부과천청사로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뉴시스]
특히 지역에선 호남(긍정 58.3%, 부정 36.2%), 세대에선 40대(48.9%, 48.2%)만 긍정평가가 우세한 걸로 나왔다. 문 대통령에게 오랫동안 우호적이었던 서울(39%→36.5%)·충청(45.4%→30.5%), 30대(44.4%→38.8%)에선 냉랭해졌다.
자신의 이념 성향을 ‘진보’라고 답한 응답층에서도 지지율은 72.0%에서 64.2%로 7.8%포인트 하락했고, 중도층에선 5.5%포인트(41.3%→35.8%) 빠졌다. 정당 지지도에서도 국민의힘이 31.2%(3.3%포인트↑)로 더불어민주당 28.9%(5.2%포인트↓)를 오차 범위 내라고는 하지만 앞섰다. 양당 지지도가 뒤집힌 것은 부동산 논란이 한창이던 지난 8월 둘째 주 이후 4개월 만에 처음이다.

문재인 대통령 국정 지지도 추이.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특히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윤석열 총장 직무배제 및 징계조치에 대해 ‘잘못한 일’이란 답변이 50%로 ‘잘한 일’(30%)을 압도했다. ‘검찰개혁’을 두고도 ‘검찰 길들이기로 변질되는 등 당초 취지와 달라졌다’는 데 55%가 공감했다. ‘권력기관 개혁이란 당초 취지에 맞게 진행된다’는 답변은 28%에 그쳤다.
이 같은 지지율 하락세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상황을 엄중하게 보고 있다.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사실 청와대는 여론조사 추이엔 예민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한국갤럽 기준으로 국정지지도가 39%를 기록했던 적이 두 차례 있었는데, 2019년 10월 3주 차와 부동산이 크게 이슈화된 올 8월 2주 차였다. 문 대통령은 그때마다 조국 전 장관의 사의를 수용했고, 김현미 국토부 장관으로부터 부동산 대책을 보고받는 등 움직임을 보였다.
문 대통령의 이날 발언도 일종의 정치적 반응성(responsiveness) 차원일 수 있다. “여론을 듣고 있다”는 정도란 취지다. 그렇더라도 윤 총장에 대한 여권의 노선을 수정하지 않을 것이란 게 정치권의 관측이다.
오현석 기자 oh.hyunseok1@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