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미애 법무부 장관(앞쪽)과 이용구 신임 법무부 차관이 3일 오후 정부과천 법무부 청사를 나서고 있다. 법무부는 "윤 총장의 방어권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며 4일로 예정됐던 징계위원회를 10일로 연기했다. 뉴시스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이 재판까지 벌이며 싸우는 걸 국민들이 어떻게 보겠느냐.”(더불어민주당 수도권 중진 의원)
“검찰개혁의 본질은 이게 아닌데, 이상한 방향으로 튀었다.”(민주당 지도부의 한 중진 의원)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를 둘러싼 논란이 여권의 지지율 폭락으로 이어지자 민주당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가 tbs의뢰로 3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37.4%를 기록해 정권 출범(2017년 5월) 이후 처음으로 30%대로 주저앉았다. 부정평가는 57.3%로 최고치였다. 민주당 지지율은 28.9%를 기록했는데 ‘최순실 게이트’가 생겼던 2016년 10월 3주차(29.2%)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국민의힘(31.2%)에게도 뒤졌다.(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이날 김기식 더좋은미래 정책위원장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 총장, 두 권력자가 왜 이렇게 싸우느냐는 여론이 임계점까지 왔다”며 “두 사람 모두 ‘고마해라’(그만둬라)는 국민들의 마음이 있다”고 꼬집었다.

문재인 대통령 국정 지지도 추이.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친문과 지도부는 대체 뭘했나”

윤석열 검찰총장이 1일 오후 5시 10분께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으로 들어서고 있다. 자신의 직무정지에 대해 법원이 효력정지 결정을 내리자 오후 늦게 출근한 윤 총장은 "모든 분에게 대한민국의 공직자로서 헌법정신과 법치주의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 드린다"고 말했다. 임현동 기자
이낙연, 추·윤 언급없이 “공수처법 개정”

이낙연 민주당 대표(앞쪽)가 3일 오후 2주간의 자가격리를 끝내고 국회로 들어서고 있다. 이 대표는 상임위 간사단 연석회의에서 "558조원이나 되는 수퍼예산을 여야 합의로, 또 6년만에 법정시한 지키면서 처리하는 광경을 감동적으로 봤다"고 말했다. 윤 총장 관련 발언은 전혀 없었다. 오종택 기자
김효성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