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에서 가장 뜨거운 온천수(78도)가 나오는 경남 창녕군 부곡이 가족 여행지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모르는 사람과 섞이지 않고 온천욕을 즐길 수 있는 '가족탕' 덕분이다. 부곡로얄호텔 가족탕에서 아이들이 물놀이를 하는 모습. 송봉근 기자
경남 창녕군 부곡면에서 만난 주민이 하나같이 한 말이다. 솔직히 부곡 사람 입장에선 억울할 법하다. 3년 전 국내 최초 워터파크라는 ‘부곡하와이’가 문을 닫았지만, 부곡의 온천 시설 24개는 여전히 성업 중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전국 목욕탕이 직격탄을 맞았어도 부곡은 피해가 덜한 편이다. 모르는 사람과 섞이지 않고 가족끼리 온천을 즐길 수 있는 ‘가족탕’이 부곡에 유난히 많아서다. 1980~90년대 누구나 한 번쯤 가본 추억의 여행지 부곡이 ‘비대면 온천 여행지’로 되살아났다.
78도 온천수, 식혀서 사용
온천법 제2조에 나온 온천의 정의다. 25도는 퍽 차가운 물이다. 그런데도 온천으로 인정해준다. 전국 598개 온천 이용 시설 가운데 상당수가 25도 수준의 찬물을 데워서 쓴다. 부곡은 다르다. 온천수 온도가 78도에 이른다. 활화산 지대도 아닌데 전국에서 가장 뜨거운 물이 지하 380m 아래에 가득 차 있다.

온천 숙소가 줄지어 선 경남 창녕 부곡 온천지구. 송봉근 기자
코로나19 탓에 야외 족욕 체험장 두 곳은 운영을 중단한 상태였다. 창녕군이 지은 ‘부곡온천 르네상스관’도 문을 닫았다. 그러나 삼삼오오 온천 업소를 찾는 발길은 끊이지 않았다. 부곡면 온천 시설 24개 중 목욕탕만 운영하는 곳은 없다. 모텔, 호텔 같은 숙소를 겸한다. 숙소 80% 정도가 가족탕을 갖췄다. 숙소 객실에 2명 이상 들어갈 만한 큰 탕을 갖췄다는 뜻이다. 가족탕은 하룻밤 묵어도 되지만 2~3시간 ‘대실’ 방식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부곡의 온천 숙소 대부분이 대중탕뿐 아니라 가족탕을 갖췄다. 가족탕은 2~3시간 대실 방식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최승표 기자
객실 두 개 터 가족탕으로
![1979년 개장해 2017년까지 38년 동안 부곡의 터줏대감 역할을 한 부곡하와이. [사진 창녕군]](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03/2d2d7c8d-1d83-49a1-a485-f9a8a10e049f.jpg)
1979년 개장해 2017년까지 38년 동안 부곡의 터줏대감 역할을 한 부곡하와이. [사진 창녕군]
가족탕 분위기는 천차만별이다. 욕조보다 조금 큰 탕을 갖춘 낡은 숙소가 있는가 하면, 커플용 월풀을 갖춘 곳도 있다. 한성호텔이나 레인보우호텔처럼 테라스에 큼직한 탕을 설치해 노천욕을 만끽할 수 있는 곳도 있다.
![최근 부곡에는 가족여행객을 겨냥한 '키즈 룸'을 갖춘 숙소가 많아졌다. [사진 키즈스테이호텔]](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2/03/11283da9-91a3-4bab-98b6-9415773c4dec.jpg)
최근 부곡에는 가족여행객을 겨냥한 '키즈 룸'을 갖춘 숙소가 많아졌다. [사진 키즈스테이호텔]

테라스에 가족탕을 갖춘 한성호텔 VVIP 객실. 테라스에서 노천욕을 즐기고 고기도 구워 먹을 수 있다. 송봉근 기자
경남 창원에서 두 아이와 함께 부곡을 찾은 서지현(36)씨는 “가족여행으로 거제, 여수에 있는 풀빌라 펜션을 많이 다녔는데 부곡에 이런 시설이 있는지 몰랐다”며 “아이를 씻겨보니 물이 좋다는 걸 알겠더라. 피부가 매끈해졌다”고 말했다.
창녕=최승표 기자 spchoi@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