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이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내년 1월 50~299인 기업에 대한 주 52시간제 적용을 예외없이 시행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조선업계, 숙련 근로자 20% 이직"

내년 1월 300인 미만 중소기업도 주 52시간제가 적용된다. 그래픽팀
또 국회에 계류 중인 '탄력근로제 6개월 연장'에 대해서도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자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납기일 막판엔 근무 시간이 주 68시간을 넘기는 게 보통"이라고 말했다.
특히 조선업의 경우 숙련 근로자의 이탈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도 있다. 정석주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상무는 "최근 하도급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주 52시간제를 시행하면 특히 잔업 특근이 많은 조선업 특성상 임금 감소로 20%가량이 다른 업종으로 이직할 것을 예측된다"고 말했다. 정 상무는 "생산성 하락에 따른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져 장기적으로 가장 뼈아픈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자동차 부품 업체도 마찬가지다. 300인 미만 B 부품업체 회장은 "지금도 인기 차종의 경우 주 60시간 가동해도 납기를 맞추기 빠듯한 상황"이라며 "코로나19 이후 회복기에 생산이 정상화 되면 계약 물량을 맞추기가 더 힘들어진다. 공급 차질은 불 보듯 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B사 회장은 "직원은 실질임금이 감소하고, 기업은 대규모 투자를 한 설비를 놀리면 감가상각이 커져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다"며 "주 52시간제를 유예하거나 특별연장근로와 탄력근로 등 유연성을 더 확보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 52시간제로 인한 인력난 가중은 중소기업계의 가장 큰 애로 사항이다. 앞서 지난 16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500개 사를 설문 조사한 결과 약 40%가 주 52시간제 준비가 안 돼 있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채용인력에 대한 비용부담(52.3%, 중복응답)"이 첫 번째로 꼽혔으며, "구인난(38.5%)"과 "코로나19로 인한 경영악화(28.7%)" 등이었다.
50인 미만, '1년 계도기간' 적용을

일감 부족으로 문 닫은 경남 지역의 한 조선소. 뉴스1
농기계 부품을 납품하는 D사 대표는 "인력 충원을 못 하는 상황에서 주 52시간제가 시행되면 수주받은 물량의 20~30%를 반납해야 하는 상황이 올 것"이라며 "300인 미만에 적용한 대로 50인 미만 기업에 대해서도 '1년 계도기간'을 적용이 필요하다. 1년 정도 시간을 더 주면 자동화 등 투자를 통해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계는 이날 정부 발표에 우려 입장을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논평을 통해 "코로나19로 유례없이 어려운 경영 상황에서 준비할 여력이 없었다"며 "이런 현실에서 계도기간 종료는 중소기업에 혼란과 불안감을 가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경련도 이날 입장문을 통해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중소기업의 초과 근무가 어려워져 인건비 부담이 상당할 것"이라며 "정부와 국회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탄력근로제 등 근로시간 유연화를 위한 제도 마련에 나서달라"고 밝혔다.
김영주 기자 humanest@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