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차 재난지원금 지급이 추진된다. 26일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의 한 상가에 긴급재난지원금 사용 가능 안내문이 붙어있다. 뉴스1
선별 지원 무게…영세 자영업자 주 대상
코로나19 재확산으로 타격을 입게 된 소상공인·자영업자가 주 대상이다. 수도권 기준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상향되며 헌팅포차, 감성주점, 단란주점, 유흥주점, 콜라텍 등 5개 업종은 영업이 금지됐다. 카페는 영업시간과 관계없이 포장 판매만 가능하고, 식당은 정상 영업을 하되 오후 9시 이후로는 포장·배달만 허용된다. 당정은 지난 9월 PC방 등 12개 영업 금지 업종에 최대 200만원의 경영안정자금을, 카페 등 영업 제한업종은 150만원 등을 지원했다. 이번에도 유사한 규모의 지원이 논의되고 있다. 고용 충격 장기화로 실직·폐업에 몰린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도 이뤄진다.

재난지원금 비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국채 발행 불가피…나랏빚 더 쌓여
재난지원금 지급은 이번이 끝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적 파장이 내년에도 이어지면 4차, 5차 지원금을 지급해야 하는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
“정치적 공방만 난무…지급 기준 마련해야”

3차 재난지원금 지급이 추진된다. 2차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지난 9월 서울 중구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마련된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상담 창구에서 시민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뉴스1
재난지원금 지급 기준 마련도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코로나19 확산 때마다 재난지원금을 둘러싼 정치적 논란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1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두고선 100% 지급이냐, 일부 지급이냐를 두고 당정청이 갈등을 빚었다. 2차 재난지원금 논의 때도 보편 지급 목소리가 있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100% 지역화폐 지급'(이재명 경기도 지사), ‘소득 하위 50% 대상 차등지급’(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과 같은 주장이 나오고 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재난지원금의 정책 효과에 대한 제대로 된 검증은 없고 정치적 공방만 난무하고 있다”며 “재난지원금 지급에 따른 혼선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합리적인 지급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교수는 “피해 계층을 위한 지원과 기본소득 성격의 보편 지급이 뒤섞여 혼란이 더 크다”며 “성격이 다른 만큼 별도로 논의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세종=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