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가시권에 들어오면서 각 정부는 접종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9/a733692c-d44f-42bd-a28d-fbef60d62fcb.jpg)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가시권에 들어오면서 각 정부는 접종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로이터=연합뉴스]
대부분은 의료진이 최우선 접종 대상
영국·일본 등에선 연장자가 그 다음
인니 등은 18~59세 생산인력 우선 접종
호주는 의료 취약한 원주민에도 우선 공급
하지만 미국 등에서 백신을 공급받아야 하는 다른 나라에선 이 시점이 더 늦어질 수밖에 없다. 결국 접종 우선순위를 정하는 게 불가피하다는 이야기다.
감염병의 최전선에 있는 의료 인력에 최우선으로 백신을 접종한다는 면에서는 어느 나라든 이견이 없다. 하지만 각론에서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다. 대형 병원의 청소 노동자가 먼저 맞아야 할지, 지역 소도시의 소아청소년과 의사에게 더 필요한지 판단하기 힘든 것이다.
"감염 위험이 큰 사람에게 먼저 접종한다"는 기본 원칙도 실행 단계에선 불분명해진다. 이곳저곳에 바이러스를 옮길 가능성이 높은 트럭 운전사가 더 위험한지, 아니면 당뇨를 앓고 있는 50대가 더 위험한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영국은 연장자, 인니는 생산인력 우선 접종
폴리티코가 현재까지 윤곽이 드러난 40개 정부의 백신 접종 기준을 정리한 결과, 일단 연장자에 우선순위를 둔 곳이 많았다. 영국의 경우 보건사회복지부 차원에서 연령대에 따라 11단계로 나눠 ^요양원에 있는 노령자와 근무 인력 ^80세 이상 노령자와 의료 인력 ^75세 이상 노령자 ^70세 이상 노령자 등으로 50세까지 순위를 정해뒀다.
일본에서도 기저 질환자나 노인을 우선 대상자로 뒀다. 그러면서 백신이 확보되면 먼저 접종받을 수 있도록 쿠폰을 발행하기로 했다고 이달 초 후생노동성이 밝혔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의료 인력 외에 18~59세 생산 인력에게 코로나19 백신을 우선 접종할 것이라고 폴리티코가 보도했다. 지난 8월 서부 자바의 리드완 카밀 주지사가 코로나19 백신 임상 시험에 참여한 뒤 왼팔을 들어보이고 있다. [AF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9/ebab54ad-d8cc-467a-9b90-c852ac136ce4.jpg)
인도네시아에서는 의료 인력 외에 18~59세 생산 인력에게 코로나19 백신을 우선 접종할 것이라고 폴리티코가 보도했다. 지난 8월 서부 자바의 리드완 카밀 주지사가 코로나19 백신 임상 시험에 참여한 뒤 왼팔을 들어보이고 있다. [AFP=연합뉴스]
인도 역시 우선 접종 대상이 되는 연령을 50세까지 낮췄다. 인도에서 80대 이상 노인들의 코로나19 사망률이 60대보다 오히려 낮았다는 연구 결과에 따른 결정이다. 하지만 인도에선 50대 이상 인구가 2억6000만 명이나 된다. 우선 공급 물량을 제때 확보할 수 있을지 미지수란 지적이 나온다.
원주민·흑인공동체 등 취약계층 우선하는 곳도
의료 취약계층을 먼저 신경 쓰는 곳들도 있다. 호주의 경우 의료 인력, 노령자 외에도 원주민들 역시 우선 접종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다. 뉴질랜드도 마오리 원주민 공동체에 초기에 백신을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미국에선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이번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은 "흑인 공동체에 먼저 백신의 혜택이 갈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폴리티코는 한국이나 대만의 경우 코로나19에 대한 통제가 잘 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마음을 놓고 있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따라서 백신을 빨리 구하기보다는 적정한 가격에 구하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김필규 특파원 phil9@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