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 [백악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8/29331b89-00c1-4e38-ac6a-5da0c90decd7.jpg)
미국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 [백악관]
[알지RG]
!["빌 어서 타세요" 외치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ABC 뉴스 유튜브 캡처]](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8/c7bd434f-56fd-4e68-92b2-ab69c983d0f4.gif)
"빌 어서 타세요" 외치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ABC 뉴스 유튜브 캡처]
'에어 포스 원'은 비행기 명칭 아닌 호출 부호
![1990년 조지 H. W. 부시 전 대통령이 에어포스원을 타고 이동 중인 모습. [백악관 자료사진]](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8/8cca1042-c818-4d68-b866-011f8476f60f.jpg)
1990년 조지 H. W. 부시 전 대통령이 에어포스원을 타고 이동 중인 모습. [백악관 자료사진]
에어포스원은 내부 면적 112평에 3층 구조의 대형 기체다. 기수 쪽에 대통령과 가족의 침실, 집무실이 있고 이어 수술실로 사용할 수 있는 의무실, 참모들과 사용하는 회의실 등으로 이어진다. 비행기 뒤편에는 프레스룸이 있다. 도입 당시에는 공중에서 팩스를 전송할 수 있는, 당시로써는 최첨단 기술이 적용돼 주목받았다.
![지난 9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케일리 매커내니 대변인이 에어 포스 원 뒤편에 위치한 프레스룸에 나타나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AF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8/5271cde6-2bd0-4275-87ae-516839c32e5d.jpg)
지난 9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케일리 매커내니 대변인이 에어 포스 원 뒤편에 위치한 프레스룸에 나타나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AFP=연합뉴스]
9·11 테러 날, 미국 상공에 뜬 유일한 비행기
![2001년 9월 11일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에어포스원 안에서 참모와 테러 대응 방안을 놓고 회의 중인 모습. [백악관 자료 사진]](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8/7c2f351f-95c5-413a-9cb9-937b46d6435c.jpg)
2001년 9월 11일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에어포스원 안에서 참모와 테러 대응 방안을 놓고 회의 중인 모습. [백악관 자료 사진]
당시 기록에 따르면 조지 부시 대통령의 보좌관들은 대통령에게 가장 안전한 장소는 하늘이라고 판단했다. 완전무장한 F-16 전투기 3기가 에어포스원을 호위했다. 그 안에서 부시 대통령은 딕 체니 부통령 등과 화상 회의를 열었다. 부시 대통령의 언론 담당 비서였던 애리 플라이셔에 따르면 보좌관들에게 "범인을 밝혀내고 나면, 그는 내가 대통령인 걸 좋아하지 않을 것이다. 반드시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말했다.
명칭은 아이젠하워, 디자인은 케네디 때부터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영부인 재클린 케네디.
당시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타고 있던 건 미 공군(Air Force) 8610편이었는데 하필 근처에 미국 이스턴항공의 8160편도 날고 있었다. 관제사가 두 비행기를 착각하는 일이 생기자 당시 대통령 전용기 조종사였던 윌리엄 드레이퍼 대령이 "앞으로 대통령 전용기는 무조건 '에어포스원'이라 부르자"고 제안했다. 이 제안이 공식 채택된 건 1959년부터다.

존 F.케네디의 취임식 등 중요한 날 '스카이 블루(하늘색)' 색의 드레스나 투피스를 즐겨 입던 영부인 재클린 케네디.
하늘색에 가까운 청록색은 영부인 재클린 케네디의 상징색이기도 하다. 이후 에어포스원의 기종은 바뀌어도 디자인은 바뀌지 않았다.
케네디는 1963년 6월 청록색 전용기를 타고 독일 베를린으로 가 유명한 연설 "나는 베를린인입니다(Ich bin ein Berliner)"을 남겼다. 그리고 몇달 뒤인 그해 11월 댈러스에서 암살됐다. 워싱턴으로의 마지막 비행도 에어포스원이 담당했다.
트럼프 "더 미국적인 색으로"
![2019년 6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신형 에어포스원의 디자인. 그는 "더 미국적인 색으로 바꾸자"며 빨간색과 남색이 들어간 에어포스원 디자인을 발표했다.[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8/d8a9d464-a852-425d-9cbb-a8b7f6a805eb.jpg)
2019년 6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신형 에어포스원의 디자인. 그는 "더 미국적인 색으로 바꾸자"며 빨간색과 남색이 들어간 에어포스원 디자인을 발표했다.[AP=연합뉴스]
그는 2019년 남색과 붉은색이 들어간 새 에어포스원 디자인을 발표했다. 빨간색은 트럼프의 상징색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전용기 외관 색과 비슷하기도 하다. 그는 새 디자인에 성조기의 색이 들어갔고 "이는 보다 미국적인 색"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백악관은 애초 계획인 2024년보다 3년 빠른 2021년에 전용기를 완성해달라고 보잉사에 요청하기도 했다. 재선에 성공한다고 간주하고 자신이 디자인한 새로운 에어포스원과 2기 행정부를 맞겠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이런 계획에 미국 의회가 제동을 걸고 나섰다. 지난해 하원 군사위원회는 백악관과 보잉사가 체결한 계약이 39억 달러의 총 비용을 초과해선 안 된다는 내용의 부수조항을 예산안에 넣었다. 디자인이나 인테리어를 바꾸기 위해 추가로 비용을 쓰는 걸 막은 것이다. 폴리티코에 따르면 아직 새 에어포스원의 도색 작업이 시작되지는 않았기 때문에 외관 디자인은 추후 바뀔 수 있다. 한 관계자는 "아마도 그 때의 대통령에 달린 문제"라고 말했다.
바이든은 트럼프 디자인을 어떻게 할까
![조 바이든 당선인. [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8/4bb5854d-0cc1-4b19-883f-dfb4901e72e2.jpg)
조 바이든 당선인. [AP=연합뉴스]
미 언론들은 바이든 당선인이 트럼프 대통령의 디자인을 원래의 디자인으로 되돌릴 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아직 당선인 측의 언급은 없었지만, 전통적인 디자인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는 게 현지의 시각이다. 바이든 당선인이 아예 새로운 디자인을 내놓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기는 하다.
신형 에어포스원은 최첨단 기능을 갖춘 최신 기종으로 교체된다. 새 에어포스원 두 대를 제작하는 데 투입되는 비용은 약 4조3000억원 가량(39억달러)이다.
현 747-200B보다 크고 더 빠르고 더 멀리 운항할 수 있다. 대통령이 이동 중에 전쟁을 지휘할 수 있도록 첨단 기술이 집약될 예정이다. 기체 길이 76m(현재 70.6m)로 공중급유, 열 감지 유도 미사일 회피, 핵폭발 전자기 충격파 방어 등의 기능을 갖출 예정이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 '알지RG'는 '알차고 지혜롭게 담아낸 진짜 국제뉴스(Real Global news)'라는 의미를 담은 중앙일보 국제외교안보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