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공개된 이왕가박물관의 유리건판 사진들. 창경궁 명정전 석탑 기단부 면석(面石) 4점과 금동불상. [사진 국립고궁박물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6/d98310eb-3415-4cd2-a738-1bd67838424e.jpg)
25일 공개된 이왕가박물관의 유리건판 사진들. 창경궁 명정전 석탑 기단부 면석(面石) 4점과 금동불상. [사진 국립고궁박물관]
일제가 만든 박물관 유물 흑백사진
7000점 중 16점 먼저 복원해 공개
일본, 쇠락하는 조선 유물은 홀대
고려·신라시대 청자·불상 더 중시
![1916년 구입한 중국 불비상. [사진 국립고궁박물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6/75f838d2-60e4-4063-b8b6-070968a2d581.jpg)
1916년 구입한 중국 불비상. [사진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시대 해시계인 간평일구·혼개일구. [사진 국립고궁박물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6/e5d51f30-4dc3-48f0-80ee-dc6af4d2478e.jpg)
조선시대 해시계인 간평일구·혼개일구. [사진 국립고궁박물관]
![북한 남포시에 위치한 강서삼묘(江西三墓) 축소 모형. 소장품 관리용으로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 [사진 국립고궁박물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6/f914f885-8dcb-4cf9-bfce-bf47b2c6bcc3.jpg)
북한 남포시에 위치한 강서삼묘(江西三墓) 축소 모형. 소장품 관리용으로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 [사진 국립고궁박물관]
실제로 이번에 공개된 사진을 보면 명정전 내부엔 팔부중상(八部衆像) 조각이 있는 석탑 기단부 면석과 금동불상, 중국 불비상(佛碑像) 등이 전시돼 있다. 불비상이란 돌을 비석 모양으로 다듬고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불상을 부조로 새긴 조각상이다. 각 사진으로 볼 때 총 9점이 명정전 전면 창호의 바로 안쪽에 진열된 것으로 보인다. 기록에 따르면 이왕가박물관은 이들 중국 불비상을 1916년에 구입했는데, 현재도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이종숙 연구관은 “각 유물 앞 숫자는 소장품 번호로 추정되며 일부 유물에 눈금이 표시된 자가 함께 놓여 있는 것으로 보아 소장품 관리용으로 촬영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1932년 발행된 『경성사진첩』에 실린 창경원 내 동물원 사진. [사진 국립고궁박물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6/f92f5a09-0dcd-4e80-858a-a2af643c1ae3.jpg)
1932년 발행된 『경성사진첩』에 실린 창경원 내 동물원 사진. [사진 국립고궁박물관]
강서삼묘(江西三墓) 축소 모형을 촬영한 사진도 보인다. 봉분을 케이크 조각 모양으로 절단한 형태의 모형은 고구려 벽화고분 내부 구조의 특징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강서삼묘는 현재 북한 남포특별시 강서구역에 있는 3기의 고구려 벽화고분으로 크기를 따라 대묘·중묘·소묘로 불린다고 한다.
일본이 1876년 설립한 제실박물관은 1909년 즈음엔 대표적인 미술 역사박물관으로 자리 잡은 상태였다. 이를 따라 개관한 이왕가박물관은, 그러나 일본인의 조선에 대한 역사 인식에 크게 좌우되는 전시형태를 보였다고 한다. “시중에서 가장 값비싸게 산 고려 시대와 신라 시대의 도자기나 금속공예, 불상 등이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조선 시대 것들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되었다. 이것은 조선이 점차 쇠락하여 마침내 망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던 그들의 조선에 대한 역사 인식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목수현, ‘일제하 이왕가 박물관의 식민지적 성격’, 『미술사학연구』 2000년 9월) 근대국가 형성에 있어서 유물을 선별하고 시각화하는 ‘주체’가 빠졌던 한국 박물관의 시작은 이렇게 아쉬운 뒷맛을 남긴다.
고궁박물관은 디지털화가 완료된 7000여 점에 관해 내용 검토가 끝나는 대로 순차 공개한다. 또 전국박물관 소장품을 검색할 수 있는 ‘이(e)뮤지엄’에도 내년 상반기 중 전체 사진 파일과 정보를 올릴 계획이다. 이종숙 연구관은 “우리나라 초기 박물관사 연구에 널리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