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조합원들이 25일 오전 국회 앞에서 10명 이상 집회금지 조치를 피하기 위해 인원을 나눠 총파업 선전전을 하고 있다. [사진 문화일보]](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26/8236951d-191e-48b0-bdfe-f7dee9959ee6.jpg)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25일 오전 국회 앞에서 10명 이상 집회금지 조치를 피하기 위해 인원을 나눠 총파업 선전전을 하고 있다. [사진 문화일보]
3만여 명 파업…2700명 집회 참석
경찰 “근접거리 시위로 10명 초과”
이날 오후 3시 서울 영등포구의 민주당 서울시당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의 경우 참석 인원은 9명이었지만 주변에서 민주노총 건설노조가 피케팅을 하고 있었다. 현장 질서유지에 나선 경찰은 민주노총을 향해 “너무 근접한 거리에서 같은 단체로 추정되는 인원이 10명을 초과하는 상황”이라며 “주최자와 참가자는 인원을 분리하고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주기 바란다”고 반복 안내했다.
정부는 민주노총의 이번 파업이 코로나19를 확산시키는 ‘불쏘시개’가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민주노총은 수도권에서 10인 이하로 집회를 열고 그외 지역은 방역수칙을 준수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동과 해산 전후 모임, 집회 과정 등에서 감염 확산의 위험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도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민주노총을 향해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목전에 두고 있는 수험생과 학부모의 절박한 심정을 헤아려서라도 예정된 집회를 즉시 철회해 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찰청과 각 지방자치단체는 방역수칙 위반 행위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조치해달라”고 주문했다.
민주노총은 지난해 3월과 7월 두 차례 총파업을 벌였지만 참여한 조합원은 각각 3200명과 1만2000명에 그쳤다. 민주노총 내부에선 ‘뻥파업’이란 자조 섞인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김기찬 고용노동전문기자, 김도년·권혜림 기자 kwon.hyeri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