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는 내년 본예산에 3차 재난지원금을 추가 편성하는 방향을 논의하기로 했다. 사진은 2021년 보편적 재난지원금 정례지급 예산 편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오종택 기자
법정기한 1주일 앞두고 사실상 날림편성
현재 본예산은 국회 예결위 예산 조정 소위에서 1차 감액 심사까지 끝냈다. 여기에 3차 재난지원금이 들어간다면 원래 써야 할 돈을 깎거나, 아니면 예산 규모 자체를 늘려야 한다. 만약 기존 예산을 깎는다면 쓸 곳에 돈을 쓰지 못하는 셈이다. 기존 예산을 건들지 않고 증액을 하면 국가채무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누더기 예산이 될 가능성이 큰 이유다.
국가채무 한계인데 또 증액하나
정부가 4차 추경 당시 밝힌 올해 말 국가채무는 국내총생산(GDP)의 43.9% 수준인 846조9000억원이다. 내년에는 이 수치가 47%대까지 올라간다. 또 9월까지 관리재정수지(108조4000억원), 통합재정수지(80조5000억원) 적자 모두 같은 달 기준으로 역대 최고다. 여기에 재난지원금으로 추가 증액까지 한다면 부담은 더 커진다. 정부가 내세운 재정준칙(GDP 대비 국가채무 60%, 통합재정수지 비율 -3%)을 못 지킬 수 있다고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 때문에 기획재정부도 “3차 재난지원금 추가 편성 이야기는 아는 바 없고,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고 재원도 없어 고려하지 않는다”며 강경한 톤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
분배·경기 활성화 효과 모두 의문
취약계층 지원 효과도 불분명하다. 전 국민 모두 나눠준 1차 재난지원금은 소득과 상관없이 가구원 수에 비례해서 줬다. 그러다 보니 가구원 수가 많은 고소득층에 지원금이 몰렸다. ‘맞춤형 지원’을 강조했던 2차 재난지원금도 경제 사정보다는 코로나19 피해 여부만 주로 따져 줬다. 이 때문에 5분위 소득 격차는 지난해 3분기(4.66배)에 비해 0.22배 오히려 더 벌어졌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재난지원금을 받으면 대면 소비로 이어져야 하는데 방역 상황 때문에 지갑을 열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말로 필요한 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집중 지원도 이뤄지지 않다 보니 소득 격차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난지원금 지급 기준 마련해야”
세종=김남준 기자 kim.namj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