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증시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셔터스톡
연구원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투센터에서 ‘2021년 경제 및 자본시장 전망’을 주제로 브리핑을 열고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금리·주식시장·환율 전망을 내놨다.
강현주 연구위원은 “이번 전망의 핵심은 백신 개발 상황인데, 내년 상반기 중 미국에서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접종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이를 바탕으로 내년 하반기 미국 경제성장률이 확대될 것으로 봤다”고 설명했다. 이를 고려해 자본시장연구원은 미국의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이 -3.6%와 4.3%, 한국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은 -1%와 3.3%로 전망했다.
백신 접종→세계 경제 회복→수출 회복 선순환 기대

화이자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로이터=연합뉴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심해진 국내 코로나19 재확산세는 성장률 전망치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국내 소비보다는 해외 수출이 우리 경제 성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강 연구위원은 “경제성장률에서 고려하는 2차 확산 우려는 국내보다는 우리가 수출하는 국가들의 경제봉쇄에 대한 것”이라며 “실제로 해당 국가들에서 재확산이 일어났지만 3월 같은 전면봉쇄는 없었기 때문에 큰 영향은 없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내년 우리 경제는 수출과 소비를 중심으로 성장할 거란 전망이다. 강 연구위원은 “올해 수출이 크게 부진했지만 내년엔 5%에 가까운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며 “다만 선진국 경기 회복과정에서 억눌린 수요가 자국 내 서비스 중심으로 회복된다면 우리에겐 부정적 요인”이라고 했다. 미국이나 유럽 사람들이‘코로나 끝났다, 이제 내구재 사야지!’ 한다면 우리로선 수출이 늘겠지만, '국내 여행을 가야지’ ‘국내 공연을 보러가야지’ 식으로 흐른다면 우리에겐 도움이 안 될 위험이 있단 분석이다.
내년 코스피 2700~2900 예상…“외국인 자금 본격 유입될 것”

금융위기때와 달리 이번 코로나19로 인한 위기국면에선 개인투자자들이 순매수를 늘리며 주식시장을 떠받쳤다. 자료 자본시장연구원
장 연구위원은 “내년 국내 경기가 회복 국면을 지나면서 본격적인 외국인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개인투자자 순매수세는 올해에 비해선 줄어들겠지만, 젊은 투자자의 비중이 증가하는 등 투자자 저변확대에 따른 유동성 증가로 주식시장 회복력은 높게 유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문현경 기자 moon.hk@joongang.co.kr
기관마다 다른 경제성장률 예측…한국은행은 26일 발표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지난 11일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이 각각 -1.1%, 3.1%가 될 거라고 봤다. 9월 OECD가 내놓은 전망치도 이와 비슷하다(올해 -1%, 내년 3.1%). IMF는 이보다 비관적인 올해 -1.9%, 내년 2.9% 전망을 10월에 냈다. 한국은행은 26일 새 전망치 발표를 앞두고 있는데, 지난 8월 전망(올해 -1.3%, 내년 2.8%) 보다 상향할지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