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세대, 잃어버린 1학년 〈상〉
엄문영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연구팀이 5월 20일~6월 16일까지 교사 815명과 학부모 249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복수응답)에 따르면 교사들은 코로나19 이후 가장 어려워진 것으로 ‘온라인 수업 준비’(15.8%, 367건)를 꼽았다. 코로나19에 대비할 역량으로도 ‘온라인 학습 교육과정 구성’ ‘온라인 학습 평가 방안’ 등이 많이 선택됐다.

코로나 19, 교사와 학부모는 어떤 점이 고민일까.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학부모들은 가장 어려운 점으로 ‘자녀 생활지도’(154건, 22.1%)를 꼽았다. 격주, 격일 등 불규칙한 등교로 인해 무너진 생활습관에 대해 걱정이 많다는 뜻이다. 자녀와 관련해 단기적으로 대비해야 할 점으로 꼽은 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167건, 23.9%), ‘건강 및 체력 관리’(150건, 21.4%), ‘생활습관 개선’(138건, 19.7%) 등이었다. 장기적 대비책으로는 ‘건강 및 체력 관리’(189건, 40.4%)가, 교육당국이 지원해야 할 점으로는 ‘전염병 대비 대응 세부 매뉴얼 개발’(142건, 20.3%)이 가장 많은 표를 받았다.
엄 교수는 “교사들이 정책 결정 과정에서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하고, 체육활동 시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며 “학부모도 자녀가 규칙적으로 생활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신경써야 한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위문희·권혜림·정진호·이우림·편광현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