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전국 10만명 운집 ‘전국민중대회’

9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민주노총·전농·전여농 등 민중 진보단체 관계자들이 민중생존권 보장과 사회불평등 해소, 한반도 평화실현, 문재인 정부를 규탄하는 '2020 전국민중대회' 선포 기자회견에서 민중고를 울리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12일 서울시와 경찰 당국에 따르면 이번 주말집회는 주최 측이 현행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키로 한 만큼 별도의 금지조치는 하지 않을 방침이다. 앞서 주최 측이 정부의 ‘100인 이상 집회금지’ 방역수칙을 고려해 99명까지 인원을 제한하고 광화문 일대 등 집회금지구역은 피하겠다고 알려와서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후 서울시나 경찰 등이 취해온 조치를 고려하면 형평성이 맞지 않는 대응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개천절 집회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10인 이상 집회까지 집회금지 행정명령을 발동하고, 경찰버스 300대를 동원해 광화문 광장을 봉쇄해온 것과는 전혀 상반된 조처여서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지난 일주일 평균 코로나19 확진자는 하루 127.4명으로 개천절 직전 일주일 평균(71명)보다 79%(56.4명)나 많다. 코로나19 확진자 수만 놓고 보면 광복절, 개천절 집회보다 방역 상황이 훨씬 심각한 상황이다.
광복절 집회 일주일 전인 8월 8일~14일 코로나19 일평균 확진자 수는 50.6명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이달 6~12일엔 하루 평균 56.4~76.8명의 확진자가 더 나오고 있는 셈이다.
평균 확진자 127.4명…광복절보다 심각

각 집회 직전 일일 확진자 수 추이.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이어 개천절 집회 닷새 전인 지난 9월 29일에는 “집회 원천 차단을 위해 서울경찰청과 공동대응하고 있다”며 참여자 고발·손해배상 청구를 재차 언급했다. 드라이브 스루 집회에 대해서도 금지 의사를 분명히 했다.
하지만 서울시와 경찰 측은 14일 집회에 대해서는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확진자 수는 늘었지만 당초 10인 미만으로 제한했던 집회 금지조치는 100인 미만으로 완화된 상태다. 집회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12일에는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을 서면으로 대체하기도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방역관련) 변경이 있을 경우 브리핑을 통해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8·15집회 이틀 전 주최자 고발을 언급했던 중앙방역대책본부도 이날 브리핑에선 집회 관련 조치를 언급하지 않았다.
개천절땐 강경…경찰 “금지조치 없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이 지난 9월 14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온라인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주최 측의 입장과는 달리 집회 참여 인원이 99명 이상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경찰은 일단 주최 측이 참가자 명부 작성과 마스크 착용, 거리두기 등 방역 조치를 잘 지키는지 지켜본다는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인원이 과다해져 직접적이고 명백한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현장에서 해산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며 “일단은 주최 측이 자체 질서유지인을 통해 인원을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방역당국 “고발·구상권 청구” 언급하더니

주요 집회 이전 확진자 수 및 방역 조치.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민중대회는 오후 3시부터 여의도공원에서 99명이 참석한 가운데 1시간 동안 진행된다. 민중대회 종료 후에는 민주노총이 '전태일 50주기'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한다. 민주당사, 국민의힘 당사 등 서울 내 5개소에서 각각 99명이 참석한다.
이 외에도 종로구 예금보험공사 앞에서는 빈민대회가, 용산구 국방부 앞에서는 진보당대회와 6·15 남측위원회 청학본부 대학생분과가 주최하는 대학생대회 등이 열린다. 세종문화회관 혹은 서울역 일대에서는 농민대회가 열린다.
코로나19 브리핑도 서면 대체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현재 거리두기 1단계에 따르면 500인 이상 행사의 경우 핵심 방역 수칙을 의무화하고 지자체에 신고 및 협의하게 돼 있다”며 “가이드라인과 별도로 마스크 착용이나 이용자 간 거리두기 등의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달라는 협조 요청 공문을 집회 주최 측에 발송했다”고 말했다.
허정원·위문희·황수연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