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기업 연구소에 근무하던 A씨는 지난해 전화 한통을 받고 깜짝 놀랐다. 한 지방자치단체에서 “공무원 채용 시험위원으로 참석해줄 수 있느냐”는 전화가 걸려왔기 때문이다.
자초지종을 듣던 A씨는 자신이 호기심에 지난해 인터넷 검색 중 찾아낸 한 사이트에 등록한 것을 떠올렸다. 해당 사이트는 '국가인재DB(데이터베이스)'. 스스로 국가인재로 추천하면 공직생활을 할 수 있다는 설명에 자천(自薦)했다. 안전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그의 이력서를 눈여겨 본 한 지자체가 A씨를 공무원 채용에서 면접위원으로 쓰겠다고 나서면서 그는 '공무원 면접위원'이 됐다.

세종시에 위치한 정부세종청사 모습. 연합뉴스
국가인재DB는 정부 내 우수 인재 임용을 위해 공직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1999년에 구축됐다. 학계와 재계, 법조계, 비정부기구(NGO)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약 30만명의 인물 정보가 수록돼 있다.
정부기관이나 지자체, 공공기관에서 정무직이나 개방형 공모직, 공공기관장과 임원 등을 필요로 할 때 이 DB가 쓰인다. 각 기관의 시험위원이나 각종 선발심시사위원회, 후보추천위원회에서 인물을 뽑을 때도 활용된다. 국가인재DB를 담당하는 인사혁신처는 2015년부터 '국민추천제'를 통해 국민 누구라도 참신한 국가인재를 추천하거나 본인을 국가인재로 추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자천인재 올리면 소중한 기회”
또 벤처기업 경영인, 주요 협회·단체 등의 임원급과 변호사·의사·건축사·공인회계사·공인노무사 등 전문자격증 소지자는 자천할 수 있다.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술사와 긴급구조요원, 시민단체 활동가와 국제기구 종사자 등 해당 분야에서 10년 이상 종사한 경우도 가능하다.
![인사혁신처가 운영 중인 국가인재DB 홈페이지 갈무리. [국가인재DB 홈페이지 캡처]](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1/06/f918b4f7-1d78-426e-85d0-11cb382aad9d.jpg)
인사혁신처가 운영 중인 국가인재DB 홈페이지 갈무리. [국가인재DB 홈페이지 캡처]
한 세미나 홍보자료를 통해 우연히 국가인재DB를 알게 된 C변호사도 마찬가지. C변호사는 중소기업 자문업무와 같은 구체적인 경력과 앞으로 국가기관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 그리고 자신의 강점을 꼼꼼히 기록해 올렸다. C변호사는 얼마 뒤 한 공공기관으로부터 “비상임감사로 지원하겠냐”는 연락을 받았다. C변호사는 “거창한 배경이나 인맥은 없지만 자기 인생이 추천서인 인재들이 국가인재DB에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충분히 어필하면 소중한 기회를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4월 부산광역시 인재개발원장에 임용된 유선희 전 포스코 인재창조원 글로벌리더십센터 전무 역시 자천인재다. 인사처는 “정부가 헤드헌팅을 통해 국가인재DB를 검색해 지방공무원에 임용된 첫 사례”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12일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의 인사혁신처에 대한 국정감사에 황서종 인사혁신처장이 참석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국가인재DB 공직 선임률 지난해 49.3%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충남 천안을)에 따르면 국가인재DB에 등재된 인력이 각 부처별로 필요 직위에 추천돼 선임되는 비율은 지난해 기준 49.3%에 이른다. 2015년에는 4234개 직위에 국가인재DB에 있는 1만5535명이 추천됐다. 실제 선임된 사람은 2625명으로 선임률은 62%에 달했다. 지난해 7918개의 직위에 맞는 사람을 뽑는 데 국가인재DB를 통해 추천된 사람은 2만8652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실제로 3902명이 선임돼 선임률은 49.3%를 기록했다.
박 의원은 “인사혁신처가 내실 있는 인력풀 확보는 물론 적재적소의 인사 추천을 통한 선임률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사혁신처 관계자는 “국가인재DB 국민추천제 활용을 공직 외에도 시험위원, 정부위원회 위원 등 다방면에서 폭넓게 인재활용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현예 기자 hykim@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