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최근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접종 뒤 사망사건이 속출하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22일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등에 대한 종합감사를 앞두고 기자회견을 열어 이렇게 주장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기윤 간사 등 의원들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 사건과 관련해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이들은 접종 중단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23/652c4cd4-5a59-49a0-8bff-81335c23c2c5.jpg)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기윤 간사 등 의원들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 사건과 관련해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이들은 접종 중단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전날(21일)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회의를 열어 전문가와 논의한 결과 백신과 사망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접종을 계속 진행키로 한 정 청장은 이날 국감에서도 같은 말을 반복했다. 요컨대 ▶예년보다 사망자가 늘긴 했지만 ▶예방접종과 사망 사이 직접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고 ▶독감에 따른 합병증이 더 우려되기 때문에 일단 접종을 하는 게 안전하다는 것이다. 정 청장은 ‘전문가의 판단’을 근거로 들었지만, 야당은 “일단 접종을 중단하고 원인 규명부터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연숙 국민의당 의원=“백신 안전성이 규명될 때까지, 적어도 역학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만이라도 접종을 중단해야 한다.”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사망자가 접종한 백신만이라도 접종 중단을 고려해야 하지 않느냐.”
▶이종성 국민의힘 의원=“인과가 있냐, 없냐는 말씀을 하시는데 어떻게든 책임만 모면하려는 자세가 참 안쓰럽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과 질병관리청의 방역 능력에 대한 정치권의 문제 제기가 독감 예방접종 이후 사망 사건을 계기로 커지고 있다. 정 청장이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등에 대한 종합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23/70a63fe3-9f33-4800-b6b3-66370cbd58ab.jpg)
정은경 질병관리청장과 질병관리청의 방역 능력에 대한 정치권의 문제 제기가 독감 예방접종 이후 사망 사건을 계기로 커지고 있다. 정 청장이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등에 대한 종합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여권엔 독감 예방접종 뒤 사망 건수가 증가하는 현 상황이나, 백신 공포가 접종률 급감으로 이어져 독감 발병률이 예년보다 느는 것 모두 부담이다. 이른바 ‘K 방역’을 주요 국정 성과로 홍보하고, 실제 정부의 코로나19 대처에 대한 여론이 여권 지지율을 견인한 터라 그렇다. 그 중심엔 늘 정 청장이 있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수천만 명이 맞는 독감 예방접종을 지금 중단하면 더 큰 위험이 예상된다”고 말했고, 의사 출신 신현영 민주당 의원은 “꼼꼼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지만 너무 백신에 대한 공포를 국민들이 안 가지면 좋겠다”고 했다. 다만 익명을 원한 여권 관계자는 “원인 규명 과정 자체는 투명하게 관리해야 국민의 신뢰가 유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준호 기자, 김수현 인턴기자 ha.junho1@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