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1월 부인과 함께 공관을 이탈해 잠적한 것으로 알려진 조성길(오른쪽에서 두번째) 이탈리아 주재 북한 대사대리.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10/09/3cf04c1a-7092-4c89-be77-11e18eac4272.jpg)
2018년 11월 부인과 함께 공관을 이탈해 잠적한 것으로 알려진 조성길(오른쪽에서 두번째) 이탈리아 주재 북한 대사대리. [연합뉴스]
유엔이 조성길 전 주이탈리아 북한 대사대리의 한국 정착 보도 관련, 북한 당국이 남아있는 그의 가족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탈리아에서 북한으로 송환된 것으로 알려진 조 전 대사대리의 미성년 딸에 대한 북한 당국의 보복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남·북 모두 탈북자와 가족 보호할 의무"
마르타 허타도 OCHAR 대변인은 8일(현지시간) 조 전 대사대리의 한국행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탈북자 가족이 보복당하지 않게 하는 데 북한 당국의 절대적인 의무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고 밝혔다.
허타도 대변인은 "탈북자를 수용한 국가(한국) 역시 탈북자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처를 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도 했다. 최근 조 전 대사대리의 탈북 경로 및 한국 거주 상황 등에 대해 구체적인 국내 보도가 이어지면서, 자칫 조 전 대사대리의 신변에 위협이 될까 우려한 것이다.
실제 조 전 대리대사의 한국행 소식이 알려진 뒤 국제사회 및 외신을 중심으로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의 신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미 CNN방송은 탈북자들의 증언을 인용해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은 정치범 수용소로 보내지거나 선전용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 공영 BBC방송도 "북한으로 송환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 전 대사대리의 미성년자 딸이 우려된다"고 보도했다.
허타도 대변인은 이에 대해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언론에 보도된 정보 이외에 이 사건에 대한 다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조 전 대사대리 부부는 지난 2018년 11월 초순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잠적한 뒤 지난해 7월 한국으로 왔다. 이탈리아에 남아있던 미성년 딸은 2018년 11월 중순 북한으로 돌아갔다고 이탈리아 외교부가 지난해 2월 확인한 바 있다.
김다영 기자 kim.dayoung1@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