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 [뉴스1, 대검찰청 제공]](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8/11/8692ebac-a9a6-4d96-97a7-d2c5d351281e.jpg)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 [뉴스1, 대검찰청 제공]
이날 중앙일보가 입수한 법무부의 대검찰청 직제 개편 방안에 따르면 검찰총장을 보좌하는 수사정보정책관, 반부패·강력부 선임연구관, 공공수사부 공공수사정책관, 과학수사부 과학수사기획관 등 차장검사급 직제 4개를 폐지한다. 수사정보정책관 산하 수사정보 1·2담당관(부장검사)은 수사정보담당관으로 통합한다.
수사정보정책관은 범죄 정보수집 역할을, 반부패·강력부 선임연구관과 공공수사부 공공수사정책관은 전국 검찰청 인지·공안 수사를 조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검찰총장을 보좌하는 이 세 직제는 '톱(Top)3'로 불린다.
5개 과로 이뤄진 반부패·강력부는 수사지휘지원과, 범죄수익지원과, 조직범죄마약과 등 3개로 축소한다. 3개 과로 구성된 공공수사부도 공안·선거수사지원과, 노동수사지원과 2개로 줄인다.
대신 형사부에 힘을 싣는다. 차장검사급 형사정책관을 신설하고 2개에 불과했던 형사과를 5개 과로 확대한다. 공판송무부 산하의 공판과도 1개 더 늘린다.
인권부를 없애고 인권정책관을 두고 그 아래 인권기획담당관과 양성평등담당관을 두는 방안도 포함됐다.

서울중앙지검 조직개편 조정안.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입수한 문건에는 중앙지검 조직 개편에 대해 "올해 1월 직접 수사부서를 형사·공판부로 전환했으나 차장 산하 배치는 유지됨에 따라 '무늬만 형사부'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며 "형사·공판 지휘체계 실질화가 필요하다"고 나와 있다. 또 "중앙지검은 형사·공판부를 1·2·3차장 산하에 분산 재배치해 형사·공판부 업무분담의 효율성을 높이고, 민생사건 처리의 신속성과 충실성을 제고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법무부는 이 같은 안을 이날 대검에 보내 의견조회를 요청했다. 이를 두고 검찰 내부에서는 후속 검찰 인사를 앞두고 윤석열 검찰총장의 힘 빼기가 본격화됐다는 진단이 나온다. 한 현직 검사는 "검찰총장의 힘을 빼기 위해 보좌 역할을 하는 기획관, 정책관 등의 자리를 없애버린 조치"라며 "대검과 사전에 협의도 없이 일방통행, 책상머리 조직 개편이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사라·강광우·김수민 기자 kang.kwangwoo@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