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다 만 치킨이 배달이 왔다"라며 조작 방송을 한 유튜버 송대익. [유튜브 캡처]](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7/03/755ab618-ef52-4e3e-adc6-b68961e60c9d.jpg)
"먹다 만 치킨이 배달이 왔다"라며 조작 방송을 한 유튜버 송대익. [유튜브 캡처]
‘배달원 먹튀’ 조작 영상을 올린 유튜버 송대익(27)씨가 지난 1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사과 방송을 올렸다. 구독자 134만명의 인기 유튜버인 송씨는 지난 28일 “배달 음식이 도착했는데 누가 내용물을 먹었다”며 먹다 만듯한 치킨과 2조각이 모자란 피자를 보여줘 조작 논란이 일었다.
먹튀 조작 사과에 본사 “경찰에 고소한다”
![피자·치킨 프랜차이즈 업체 '피자나라 치킨공주'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온 공지문. [홈페이지 캡처]](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7/03/6ab407fd-e57c-4b1f-a949-75f5b3b6032c.jpg)
피자·치킨 프랜차이즈 업체 '피자나라 치킨공주'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온 공지문. [홈페이지 캡처]
‘조회 수=돈’ 자극적 영상의 유혹
![인기 유튜버 송대익이 지난달 28일 자신의 유튜브 방송 중 "배달원이 치킨과 피자를 일부 먹었다"고 주장하며 해당 업체에 항의하고 있다. [사진 송대익 유튜브 캡쳐]](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7/03/eb8451e6-9fd4-4d1f-bac4-9510742f60ad.jpg)
인기 유튜버 송대익이 지난달 28일 자신의 유튜브 방송 중 "배달원이 치킨과 피자를 일부 먹었다"고 주장하며 해당 업체에 항의하고 있다. [사진 송대익 유튜브 캡쳐]
일각에선 계속된 논란에도 조작 방송이 이어지는 건 유튜버들을 제대로 엄벌하지 않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온다. 실제 강모씨의 경우 여전히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이며 틱장애를 풍자한 영상을 올리거나 ‘대구에서 마스크 없이 살아남기’ 등의 자극적 영상을 올리고 있다.
유튜브, 해외 사업자라 제재 강제 못 해

변경된 유튜브 로고.
하지만 유튜브 운영사인 구글은 해외 사업자라 방심위에서 규제를 강제할 수는 없다. 방심위 관계자는 “해외 서버의 경우 접속 차단 조치를 하는데 사업자에게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망 사업자에게 요구한다”며 “만약 우회 서버를 이용할 경우 제재할 방법은 없다”고 했다. 방심위에 따르면 2017~2019년 접속이 차단된 유튜브는 ▶615건(2017) ▶1125건(2018) ▶438건(2019) 정도다.
이에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왜곡되거나 거짓된 정보를 사실로 받아들이게 하는 건 명백한 범죄 행위다. 돈 버는 사업자 입장에서는 책임도 함께 따라야 한다”라며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벌금을 물리는 등의 제재를 통해 책임을 지게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제재’가 완전한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김도연 국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실정법을 어겼으면 처벌을 하되 유튜브 자체를 제재하기보다는 미디어를 이용하는 국민이 충분한 판별력을 가질 수 있도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