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지난 2월 2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규제개혁당 시·도당 창당발기인 대회에서 ‘공정사회와 규제개혁’을 주제로 특별강연하고 있다.뉴스1
이들의 이같은 입장은 오 전 부산시장이 총선을 염두에 두고 여직원 성추행 사실 인정 및 사퇴 시점을 조율했다는 의혹이 정치권에서 일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진 전 교수는 2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보수의 위기는 이런 우발적 사건으로 덮고 가기엔 너무 넓고 깊다”며 “여당의 압승과 야당의 참패라는 기조 자체가 변했을 것 같지는 않다”고 밝혔다. 다만 “ 부산과 수도권에서 몇 석이 미래통합당 쪽으로 넘어갈 수는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진 전 교수는 “이 사태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권력을 이용한 성추행 사건의 폭로마저도 여당의 선거 일정 편의에 맞춰 조정됐다는 사실”이라며 의혹에 힘을 실었다. “여성의 인권 보호라는 공동체적 가치가 아닌 집권당의 총선 승리라는 당파적 이익에 주어졌다는 얘기”라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피해자 인권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여성단체마저 이런 황당한 처리방식에 동의했다는 사실이 우리를 더욱 우울하게 만든다”라고 지적했다.

이준석 미래통합당 최고위원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이 최고위원은 이날 CBS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서 오거돈 전 시장의 성추행 사건에 대해 “부산 민심에는 큰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당장 부산지역에서 대부분의 의석을 통합당이 가져갔지만 그래도 적은 표차로 낙선한 후보들 같은 경우에는 억울할 수는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이것이 아까 말했듯이 선거 결과에 대한 변화를 가져오지 않겠지만 그래도 이제 지방선거와 대통령선거 때까지 그런 후보자들이 이슈화하게 되면 우리나라 선거 지형을 보면 소위 말하면 PK를 잡는 쪽이 선거에서 이기는 것 아니겠냐. 그런 상황 속에서 앞으로 다가오는 선거에 충분히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오 전 시장의 사퇴 공증을 맡았던 곳이 현 정권과 특수관계인 ‘법무법인 부산’으로 확인된 것에 대해선 “그건 유튜버 수준에서 물은 거지 당에서 묻지는 않을 거다”라며 “이걸로 대통령을 엮는 건 가십거리다. 이게 진지하게 토론할 사안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