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완 중앙일보 기업지원센터장
신용관리 향상은 신용위험을 어떻게 관리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환경위험, 경영위험, 재무위험, 사업위험 등 4가지 위험을 세부 평가항목으로 나누고, 각각에 대해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관리해야 합니다.
환경위험은 기업형태와 산업환경의 연관성을 평가 항목으로 해 동종 업계 분석, 시장지위 및 경쟁력 평가를 포함합니다. 경영위험은 대표자의 신용도와 경력을 포함한 경영 전문성, 경영진 교체와 지분 구조 등에 관한 경영 안정성, 관계사 간 내부거래, 출자관계, 지급보증을 평가하는 계열구조 위험, 신뢰도, 신용상태 등이 평가 항목입니다. 사업위험은 시장점유율과 시장지위, 구매 판매 안정성, 부도어음 등 불량채권의 보유 규모를 평가하는 주요 거래처 신용도, 생산현황과 공사현황, 인력 및 기술수준, 매출과 투자 효율성을 평가 항목으로 합니다.
무엇보다 신용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CEO의 인식입니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신용평가제도에 대한 인식 정도를 설문 조사한 결과 이를 자세히 알고 있다고 자신하는 비율이 7.6%밖에 안 될 만큼 저조했습니다. 결국 중소기업의 신용관리는 CEO가 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정기적인 신용상태 체크관리를 시행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김민완 중앙일보 기업지원센터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