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pixabay]](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3/26/51bad416-c423-4d58-a35a-ec9e499c5dea.jpg)
[사진 pixabay]
고위법관 재산, 200억원대 1위는
5위에서 10위도 지난해와 비슷했다. 최상열(62ㆍ13기) 서울중앙지법 원로법관이 133억 954만원으로 5위, 문광섭(54ㆍ23기) 대전고법 수석부장판사가 131억 9951만원으로 6위였다. 심상철(63ㆍ12기) 수원지법 성남지원 원로법관이 107억 9666만원을 신고해 7위에 올랐다. 100억대 자산을 가진 고위 법관 7명 중 4명이 원로법관이다. 9위와 10위로 새로 10위권에 들어온 강승준(54ㆍ20기) 서울고법 부장판사와 심담(51ㆍ24기) 수원고법 부장판사는 각각 77억 9000여만원대 재산을 신고했다.
고위 법관 163명 중 순재산이 증가한 법관은 130명이고 그중 1억원 이상 재산이 증가한 법관이 57명이다. 1년 새 가장 재산이 많이 늘어난 법관은 김대웅(55ㆍ19기)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배우자의 토지 증여 등을 포함해 순증가액이 22억원가량이다.
장남 재산 포함으로 늘어난 대법원장 재산
![대법원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3/26/f5a23621-9576-42d4-8749-577aef2c8167.jpg)
대법원 [연합뉴스]
대법관 중에선 63억 7992만원을 신고한 안철상 대법관이 가장 부자였다. 권순일 대법관이 47억 8947만원을 신고해 2위였다. 대법관 중 가장 적은 재산을 신고한 대법관은 노정희(57ㆍ19기) 대법관으로 10억 6815만원, 김선수(61ㆍ17기) 대법관이 10억 8412만원 순이었다. 김 선수 대법관은 매일노동뉴스의 비상장주식 1000주를 신고했다.
고위 법관 중 가장 적은 재산을 신고한 법관은 2억 원대의 황진구(50ㆍ24기) 서울고법 부장판사와 김성수(52ㆍ24기) 대전고법 부장판사, 천대엽(56ㆍ21기) 서울고법 부장판사다.
헌재 재판관 평균 23억 재산 신고
![헌법재판소.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3/26/649f5e2d-8e10-461c-9935-065e461ed6ff.jpg)
헌법재판소. [연합뉴스]
이미선(50ㆍ26기) 재판관이 49억1300여만원을 신고해 공개대상자 중 최고였다. 지난해보다 1억8951만원 늘어났고, 급여 저축이 주요 증가 원인이라고 밝혔다. 이 재판관은 배우자인 오충진(52) 변호사가 산 외국기업 주식도 신고했다. 재산 공개 내역에는 "해당 주식은 주식백지신탁 심사위원회가 '공개대상자' 등과 직무 관련성이 없다고 고시한 외국 기업 주식 취득"이라는 설명이 붙었다.
이석태(67ㆍ14기), 이종석(59ㆍ15기), 유남석, 이영진(59ㆍ22기), 이선애(53ㆍ21기) 재판관이 20억원대 재산을 신고했고 이은애(54ㆍ19기) 재판관이 17억원대, 김기영(52ㆍ22기) 재판관이 14억원대, 문형배(55ㆍ18기) 재판관이 6억6000만원대 재산을 신고했다.
이수정 기자 lee.sujeong1@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