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 명동 본점[하나금융그룹 제공]](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2/14/769b1538-e8bd-4500-adc5-e18797bdd222.jpg)
하나금융그룹 명동 본점[하나금융그룹 제공]
인수대상 지분은 70%로 매매대금은 약 770억원이다. 더케이손보의 자기자본 1469억(지난해 9월 기준) 대비 주가순자산비율 (PBR) 0.75배 수준이다. 하나금융은 지난해 12월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됐다.
더케이손보는 2003년 한국교직원공제회가 100% 출자해 설립한 회사다.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자동차보험 전문보험사로 출발해 2014년 종합 손보사로 라이선스를 확보했다. 거래 손님의 절반이 우량 교직원으로 이뤄졌다. 교직원공제회는 지분 매각 후에도 더케이손보 지분 30%를 보유한 주요 주주로 남는다
하나금융의 인수합병은 2012년 외환은행을 인수한 후 8년 만이다. 금융당국의 자회사 편입 승인과 매매대금 지급이 완료되면 더케이손보는 하나금융의 14번째 자회사가 된다.
![하나금융그룹의 디지털생태계 구축안 [하나금융그룹 제공]](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2/14/f130ba77-cec6-49ec-a8af-859bce67f602.jpg)
하나금융그룹의 디지털생태계 구축안 [하나금융그룹 제공]
하나금융은 더케이손보를 일상생활에서 쉽고 빠르며 다양한 보장이 가능한 디지털 종합손해보험사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현재 더케이손보는 자동차보험을 위주로 판매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글로벌 디지털 손보사를 벤치마킹하고, 더케이손보의 디지털 역량을 분석하는 등 업계를 선도하는 디지털 종합손보사로의 전환을 위한 전략을 검토 중이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2/14/3ec97deb-94fd-49da-9cc6-f2cf61f742e9.jpg)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 [뉴스1]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혁신적인 디지털 손보 모델을 통해 신규 비즈니스를 발굴하고, 많은 손님들이 손쉽게 보험상품을 이용할 수 있는 금융의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인구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의 사회 변화와 맞물린 선진국형 시장구조로의 변화로 인해 향후 손해보험시장은 지속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