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혜영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장(가운데)이 지난 21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공천관리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1/30/1ea0a3e6-5b5c-4e5a-a1ea-a0f9ba9245d2.jpg)
원혜영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장(가운데)이 지난 21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공천관리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는 29일 여의도 당사에서 회의를 열고 전·현직 대통령 이름은 쓰지 않는 내용을 포함한 적합도 조사 방식을 확정했다. 다만 6개월 이상 근무한 경우 청와대 경력은 표시할 수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당 핵심 관계자는 “공관위에서 청와대 행정관, 비서관 경력이 6개월을 넘을 경우 이를 직함으로 사용하되 김대중·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의 이름은 사용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공관위에서 전·현직 대통령 이름은 사용하지 않도록 결정했다”며 “당에서는 애초 1년 이상 경력자에 한해 청와대 직함을 사용하도록 했지만 전례에 준해 6개월 이상의 경우 쓸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민주당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전·현직 대통령 이름 사용은 금지하고 1년 이상 재직한 경우 청와대 직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을 정해 공관위에 전달했다.
민주당 공천 종합평가에서 공천적합도 조사의 비중은 40%이다.
이는 정체성(15%), 기여도(10%), 의정활동 능력(10%), 도덕성(15%), 면접(10%)보다 현저히 높은 수준이다.
그간 당내에서는 공천 여론조사를 할 때 청와대 경력에 전·현직 대통령 이름까지 사용할 경우 그렇지 않을 때보다 여론조사 결과가 최대 20%포인트 가까이 차이가 난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다.
당 관계자는 “호남 등 문 대통령 지지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실제 대통령 이름을 사용할 경우 지지율이 최대 20%가량 높게 나오기도 한다”면서 “상식적인 결정”이라고 말했다.
공관위는 다만 이번 조사는 경선과는 별개라고 선을 그었다.
이근형 공관위 간사는 이날 공지문을 통해 “(이번 조사에서) 사용되는 조사방식은 실제 경선 시 사용될 후보자 경력 소개와는 전혀 무관하다”며 “경선과 관련된 사항은 선거관리위원회가 발족하면 해당 기관에서 결정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지난 2018년 지방선거 경선에서는 예비 후보들의 경력에 대통령 이름 사용을 허용한 바 있다.
정혜정 기자 jeong.hyejeo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