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V80의 전측 모습. 대형 크레스트 그릴과 쿼드(4개) 램프가 웅장한 느낌을 준다. [사진 제네시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1/16/baa06ac9-9156-46ba-8fff-ac4be8503d56.jpg)
GV80의 전측 모습. 대형 크레스트 그릴과 쿼드(4개) 램프가 웅장한 느낌을 준다. [사진 제네시스]
J가 타봤습니다
소음 저감, 서스펜션 조절 신기술
첨단 운전자보조기능도 적용
디젤 모델 가격 6580만원부터
국내 판매 목표 2만4000대
이날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발표회에서 이원희 현대차 사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은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제네시스 브랜드의 이정표”(이용우 제네시스 사업부 부사장) “제네시스 디자인의 첫 앰버서더(루크 동커볼케 현대차 디자인담당 부사장)” 등 현란한 수사가 등장했다.
![15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제네시스 GV80 신차 발표회에서 GV80 개발 주역과 관계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재훈 현대차 국내사업본부 부사장, 알버트 비어만 연구개발본부 사장, 이원희 현대차 사장,루크 동커볼케 현대차 디자인담당 부사장, 이용우 제네시스사업부 부사장, 이상엽 현대차 디자인센터장 전무. [사진 제네시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1/16/a17aed67-463c-4c2c-aea8-051beb1da29a.jpg)
15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제네시스 GV80 신차 발표회에서 GV80 개발 주역과 관계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재훈 현대차 국내사업본부 부사장, 알버트 비어만 연구개발본부 사장, 이원희 현대차 사장,루크 동커볼케 현대차 디자인담당 부사장, 이용우 제네시스사업부 부사장, 이상엽 현대차 디자인센터장 전무. [사진 제네시스]
“인류에겐 작은 첫걸음…”이라는 닐 암스트롱의 말까지 인용한 이상엽 현대차 디자인센터장의 '감격'스러운 발언에선 웃음도 터졌지만, 그만큼 현대차와 제네시스가 심혈을 기울였음을 부인하긴 어렵다.
뛰어난 외관 디테일, 조금 못 미친 내부
날씬한 LED 램프로 만든 쿼드램프와 측면을 가로지르는 캐릭터 라인, 후륜구동 SUV답게 긴 후드라인과 짧은 오버행(범퍼에서 바퀴 축까지 거리)과 22인치에 달하는 거대한 휠이 대형 럭셔리 SUV에 걸맞은 프로포션(비율)을 보여줬다.
내부 인테리어 역시 딱히 흠잡을 데는 없다. 다만 3년 묵힌 디자인이어서인지 트렌드에 약간 뒤진 느낌이 없지 않다. 최근 자동차들은 대시보드를 수평으로 가르는 대형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지만, GV80은 14.5인치 대형 플로팅 타입 디스플레이를 달았다.
‘여백의 미’라고 현대차가 주장하는 인테리어는 고급 소재의 질감을 사용한 것이 프리미엄 브랜드답다. 다이얼 형태의 전자식 변속장치, 그리고 필기 인식이 가능한 인포테인먼트 컨트롤러도 조작감이 훌륭하다. 하지만 외관만큼 독창적이거나, 제네시스만의 개성이 드러나진 않는 것도 사실이다.
안정적인 성능과 승차감
신차 발표회에 이어진 시승회에서 일산 킨텍스~인천 송도 경원재 앰버서더 호텔을 왕복하는 왕복 120㎞ 구간에서 GV80을 시승했다. 디젤 모델이지만 특유의 진동이나 소음은 거의 들리지 않았다. 가속페달을 깊게 밟아 강제로 저단 변속을 해도 제법 진중한 엔진음이 들렸다.
측면까지 적용된 이중접합 차음 유리 덕분에 고속 주행에서도 풍절음(주행 시 유입되는 바람 소리)은 크게 들리지 않았다. GV80에 적용된 가장 새로운 기술은 ‘능동형 노면소음 저감기술(RANC)’이다. 소음을 줄이는 음파를 발생시켜 소음이 안 들리는 것처럼 만드는 기술인데, 애플의 에어팟 프로 같은 이어폰에 사용되기도 하는 기술이다.
확실히 노면 소음은 크게 들리지 않았다. 다만 송도로 넘어가는 도중엔 시멘트 도로 특유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됐다.
승차감은 훌륭한 편이다. GPS 정보를 이용해 미리 서스펜션(현가장치)을 조절하는 ‘프리뷰 전자제어 서스펜션’도 GV80에 적용된 신기술이다. 하지만 과속방지턱 같은 요철을 넘을 때의 거동은 경쟁 브랜드와 비교해 다소 못 미치는 느낌도 들었다.
테슬라처럼…자동으로 차선 변경
첨단 운전자보조기능(ADAS)는 현대차와 제네시스의 모든 역량을 쏟아부은 듯했다. 고속도로 주행보조(HDA)2라 이름 붙은 기능은 도로 제한 속도에 맞춰 반자율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방향 지시등 조작으로 자동 차선변경이 가능한데, 사고를 막기 위해 작동 조건이 좀 까다롭긴 하지만 잘 작동했다.
최근 BMW·메르세데스-벤츠 같은 독일 프리미엄 완성차의 SUV는 과거보다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한다. 그러다 보니 GV80이 오히려 독일차보다 딱딱한 느낌도 든다. 노면을 잘 읽어주는 점도 운전자를 편안하게 한다. 굳이 흠을 잡자면 여전히 조향 감각은 좀 무디고, 좌우 흔들림을 제어하지 못했다.
현대차의 미래 GV80에 달렸다
GV80의 국내 판매 목표는 올해 2만4000대다. 국내 프리미엄 SUV 연 판매량이 1만9000대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공격적인 목표다. 글로벌 판매 목표는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 제네시스의 주력인 G80 세단은 지난해 국내에서 2만2000여대가 팔렸다.
![지난해 '북미 올해의 차'에 뽑힌 제네시스 G70. [사진 제네시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1/16/a554da4c-bc49-41ae-8663-b2c57d41bc71.jpg)
지난해 '북미 올해의 차'에 뽑힌 제네시스 G70. [사진 제네시스]
그 첫 모델인 GV80은 신대륙의 장기숙성형 ‘리저브(Reserve)’ 와인 같은 느낌을 줬다. 프랑스의 그랑크뤼 와인처럼 역사와 명성은 없지만 때론 그랑크뤼를 이길 수 있는 품질과 장기숙성형 와인의 잠재력을 지녔다. 디젤 모델의 가격은 6580만원에서 시작한다. 경쟁 모델과 비교하면 최대 옵션을 더해도 2000만원은 싸다.
이동현 기자 offramp@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