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과 두개골 뚫린 시점 시차 있어보여"
5·18과 관련성 확인하려면 정밀감식 해야
뒤죽박죽에 보존 상태 안좋아 장기화 우려
![지난 22일 법무부 등은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서 40여구의 신원 미상 유골을 발견, 5.18민주화운동과의 연관성 등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검.경.군 등으로 이뤄진 합동조사반은 구멍이 뚫린 머리뼈 일부도 발견했다. 사진은 발골된 유골 중 구멍이 뚫린 머리뼈의 모습.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6/309afa16-b9d7-4c8d-826b-5506d45663f3.jpg)
지난 22일 법무부 등은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서 40여구의 신원 미상 유골을 발견, 5.18민주화운동과의 연관성 등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검.경.군 등으로 이뤄진 합동조사반은 구멍이 뚫린 머리뼈 일부도 발견했다. 사진은 발골된 유골 중 구멍이 뚫린 머리뼈의 모습. [뉴스1]
법무부는 지난 19일 옛 광주교도소 부지 무연분묘에서 신원미상 유골 40여 구를 발굴했다. 이 유골들이 5·18 당시 사라진 행방불명자들의 유골인지는 확인되진 않았다.
옛 광주교도소는 5·18 사적지 제22호로 지난 1980년 5·18 당시 항쟁에 참여한 시민군과 무고한 시민들이 옥고를 치렀던 곳이다. 5·18 기간 동안 광주교도소에 주둔하던 계엄군이 담양과 순천으로 이동하던 차량에 총격을 가해 시민 수십명이 희생되기도 했다.
![지난 23일 오전 전남 장성 국과수 광주과학수사연구소에서 열린 옛 광주교도소 신원미상 유골에 대한 법의학 전문가 사전 협의에서 양경무 국과수 중앙법의학센터장(오른쪽) 등이 논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6/bb217f3d-b765-4479-a4ec-77fb93a3594e.jpg)
지난 23일 오전 전남 장성 국과수 광주과학수사연구소에서 열린 옛 광주교도소 신원미상 유골에 대한 법의학 전문가 사전 협의에서 양경무 국과수 중앙법의학센터장(오른쪽) 등이 논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총상에 의해 사망했다면 두개골 외부와 뚫린 쪽의 단면 색깔이 일치해야 하는데 살펴본 두개골은 달랐다"며 "사망과 두개골이 뚫린 시점에 시차가 있다는 것인데 광주교도소가 1971년 동구 동명동에서 북구 문흥동으로 이전할 때 묻힌 유골이었다면 이장과정에서 손상됐을 수도 있다"고 했다.
앞서 진행된 육안감식은 발굴된 유골 중 무작위로 선별된 일부에 대해서만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박 교수는 "확인하지 못한 나머지 유골 모두를 확인한 것은 아닌 만큼 정밀감식을 거쳐 5·18과 관련성을 확인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법무부는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공동묘지 일원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유골 40여기를 발견했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사진은 전날 작업 과정에서 발견된 유골의 모습.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6/c30d2e6e-e6e4-4e1c-8506-89b8212cde20.jpg)
법무부는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공동묘지 일원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유골 40여기를 발견했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사진은 전날 작업 과정에서 발견된 유골의 모습.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이번 감식작업이 짧아도 6개월 혹은 1년 이상 장기화할 것이라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유골의 보존 상태도 좋지 않아 DNA 추출에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광주교도소는 1908년 '광주감옥'으로 개청해 1912년 현재의 동구 동명동에서 1971년 7월 북구 문흥동으로 이전했다. 이후 시설 노후화로 2015년 10월 북구 삼각동으로 옮겨갔다. 신원미상 유골 40여 구는 정밀감식 작업을 거치기 위해 강원도 원주에 있는 국과수 본원으로 옮겨진다.
광주광역시=진창일 기자 jin.changil@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