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이 17일 서울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송년 모임을 겸해 마련한 '이상과의 만남' 행사에서 강연자로 모습을 드러낸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행사에 함께 하며 이날을 사진으로 기록한 방송인 이광기씨는 "암 투병 중에도 지치지 않는 지적 열정을 보았다"고 말했다. [사진 이광기]](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cc76786f-4157-41b0-90b3-8c490bb3c897.jpg)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이 17일 서울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송년 모임을 겸해 마련한 '이상과의 만남' 행사에서 강연자로 모습을 드러낸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행사에 함께 하며 이날을 사진으로 기록한 방송인 이광기씨는 "암 투병 중에도 지치지 않는 지적 열정을 보았다"고 말했다. [사진 이광기]
“사람에겐 생물학적 죽음 혹은 사회적 죽음이 있잖아요. 그런데 우리가 세상을 떠나도 죽지 않는 것이 있어요. 땅을 많이 남기거나 돈을 남기는 것보다, 죽음 후에도 내 생각이 끝없이 문화유전자처럼 퍼진다면 이게 하나의 희망이 되지 않겠나.(중략) 이상(본명 김해경)을 보세요. 스물일곱 살에 폐결핵으로 객사한 사람이 살던 자리에 우리가 지금 있어요. 순간이지만 영원한 것, 우리가 시간을 이기고 환란을 견디고 살 수 있는 방법이 뭔가를 이상이 보여주는 겁니다.”
'이상의 집'서 열린 문화유산국민신탁 행사
암 투병 이어령 전 장관 '이상의 세계' 강연
"순간이지만 영원한 문화유전자 남겼다"
여든 일곱 살 노학자의 나지막이 힘준 목청이 서울 종로구 통인동 ‘이상의 집’에 울렸다. 초대 문화부 장관을 지낸 이어령 이화여대 명예교수다. ‘이상의 집’은 시인이자 소설‧건축가 이상(1910~1937)이 세 살 때부터 20여년 살았던 집터에 자리 잡은 일종의 기념관. 그는 이곳에서 “내가 살아있기 때문에 여러분에게 말할 수 있는 은밀한 이야기, 내가 이야기하지 않으면 영영 몰랐을, 이상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했다. 지난 17일 저녁 풍경이다.
이날 행사는 ‘이상의 집’을 관리하는 문화유산국민신탁(이하 국민신탁)이 일종의 송년 행사로 열었다. 각계 각지의 문화지킴이들 50여명이 한데 모여 작은 한옥이 북새통을 이뤘다. 특히 암에 걸린 후 ‘투병’이 아니라 병과 친해지는 친병(親病) 생활을 하고 있다고 말해온 이 전 장관의 특강 소식이 전해지면서 취재진도 몰렸다.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이 17일 서울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송년 모임을 겸해 마련한 '이상과의 만남' 행사에서 인사를 나누는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과 연극배우 박정자씨. [사진 이광기]](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ecdc8d1d-b055-4f92-9130-d0ae1614eee3.jpg)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이 17일 서울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송년 모임을 겸해 마련한 '이상과의 만남' 행사에서 인사를 나누는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과 연극배우 박정자씨. [사진 이광기]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이 17일 서울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송년 모임을 겸해 마련한 '이상과의 만남' 행사에서 이상의 시를 낭독 중인 연극배우 박정자씨. [사진 이광기]](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f686543a-6782-48f9-b22a-28b4bad8e95e.jpg)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이 17일 서울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송년 모임을 겸해 마련한 '이상과의 만남' 행사에서 이상의 시를 낭독 중인 연극배우 박정자씨. [사진 이광기]
![17일 ‘이상의 집’에서 열린 '이상과의 만남' 행사 때 소리꾼 장사익씨가 ‘귀천’을 노래하자 생각에 잠겨 경청하는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사진 이광기]](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453005dc-b609-4ef1-a1fc-63b93db48c19.jpg)
17일 ‘이상의 집’에서 열린 '이상과의 만남' 행사 때 소리꾼 장사익씨가 ‘귀천’을 노래하자 생각에 잠겨 경청하는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사진 이광기]
이틀 뒤인 19일 경기도 파주출판도시 내에 위치한 ‘스튜디오 끼‘에서 이씨를 따로 만났다. 연기자 외에 사진작가, 미술 컬렉터로도 활동하는 그가 문화 창작자들을 매개하고 전시활동을 하기 위해 마련한 공간이다. 이 전 장관과의 인연을 묻자 “매년 1월 김종규 국민신탁 이사장님, 임권택 감독님, 박정자‧손숙 선생님 등과 함께 새해 덕담 모임을 오래 해왔는데 늘 귀한 말씀 해주시는 큰 어른”이라고 소개했다. 그날 찍은 사진들을 보여주면서 “건강이 염려됐는데, 그날 뵈니 여전히 왕성한 지적 활력이 느껴져서 기쁘고 감사했다”고 덧붙였다.
![탤런트 출신으로 사진작가로도 활동하면서 경기도 파주 출판단지 내 문화창작매개공작소 '스튜디오 끼'를 운영 중인 방송인 이광기씨. [사진 끼 스튜디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82986399-f1a9-4439-8986-7e7db40d0c18.jpg)
탤런트 출신으로 사진작가로도 활동하면서 경기도 파주 출판단지 내 문화창작매개공작소 '스튜디오 끼'를 운영 중인 방송인 이광기씨. [사진 끼 스튜디오]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이 17일 서울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마련한 '이상과의 만남' 행사에서 방송인 이광기씨(가운데)가 정재숙 문화재청장(오른쪽)으로 감사패를 받고 김종규 이사장과 함께 포즈를 취했다. [사진 문화유산국민신탁]](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65ad1771-9d0b-4270-b3fe-b663ae2c2059.jpg)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이 17일 서울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마련한 '이상과의 만남' 행사에서 방송인 이광기씨(가운데)가 정재숙 문화재청장(오른쪽)으로 감사패를 받고 김종규 이사장과 함께 포즈를 취했다. [사진 문화유산국민신탁]
‘이상한 모임’에서 이상의 삶을 부르짖다
이 전 장관의 농담 섞인 인삿말처럼 참석자 면면은 다양했다. 이홍구 전 국무총리, 김병일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이사장(전 기획예산처 장관), 유진룡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이근배 대한민국예술원 신임회장, 신연균 아름지기 이사장, 이건무 전 문화재청장 등이 함께 했다. 가수 조영남씨 등은 참석이 예정됐다가 자리하지 못했다. 이 전 장관 자신도 외부활동을 더 이상 하지 않겠다고 공언한 상황에서 “이건 외부 행사가 아니라 내부 모임”이라는 김종규 이사장 설득에 못 이겨 나왔다.
이를 두고 이씨는 “다른 곳도 아닌 ‘이상의 집’이라 더욱 각별했던 것 같다”고 돌아봤다. 이상 집터는 2009년 헐릴 뻔하다가 국민신탁 및 각계 후원 덕에 가까스로 보존돼 지난해 말 재개관했다. “이상이 짧은 생을 살아갔지만 그 흔적이 여기저기 남아서 보여지듯, 그날 이어령 선생님을 통해서 또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힘을 느꼈죠.”
그랬던 이유가 한국 현대문학에서 이상이라는 ‘잊혀진 유산’을 길어 올린 이가 문학평론가 이어령이라서다. 그가 1972년 문단의 ‘우상 파괴’를 주창하며 ‘월간 문학사상’을 창간했을 때 첫호 표지가 꼽추화가 구본웅이 그린 이상의 초상화였다. 청년평론가 이어령은 이상에 대한 전복적인 해석을 주도했을 뿐 아니라 그의 사진‧자료 등 유품을 모으는 데도 전력을 다했다.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이 17일 서울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송년 모임을 겸해 마련한 '이상과의 만남' 행사에서 강연자로 모습을 드러낸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행사에 함께 하며 이날을 사진으로 기록한 방송인 이광기씨는 "암 투병 중에도 지치지 않는 지적 열정을 보았다"고 말했다. [사진 이광기]](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e76572fe-42f4-4150-8748-d98c9b4ea3e6.jpg)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이 17일 서울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송년 모임을 겸해 마련한 '이상과의 만남' 행사에서 강연자로 모습을 드러낸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행사에 함께 하며 이날을 사진으로 기록한 방송인 이광기씨는 "암 투병 중에도 지치지 않는 지적 열정을 보았다"고 말했다. [사진 이광기]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이 17일 서울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송년 모임을 겸해 마련한 '이상과의 만남' 행사는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의 특강으로 성황을 이뤘다. 이 자리에서 발언 중인 김종규 이사장, 이 전 장관, 정재숙 문화재청장, 이홍구 전 총리. [사진 문화유산국민신탁]](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5c030849-9404-4469-96fd-cf2ae94a54a2.jpg)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이 17일 서울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송년 모임을 겸해 마련한 '이상과의 만남' 행사는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의 특강으로 성황을 이뤘다. 이 자리에서 발언 중인 김종규 이사장, 이 전 장관, 정재숙 문화재청장, 이홍구 전 총리. [사진 문화유산국민신탁]
“올림픽‧월드컵 등을 보고 날더러 나라에 공헌했다고 하는데, 그거 내 삶에서 별로 중요한 것들 아니에요. 이벤트 ‘굴렁쇠’야 알지, 내가 공간기호론 쓴 사람인 거 아무도 몰라줘요. 나보고 장관이라 하지만 내 일생에서 장관은 2년 밖에 안 했어요. 오히려 내가 젊은 나이에 이상을 복원시켰고. 소수지만 그 때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건축으로, 음악으로, 그림으로 다방면에 팬들이 많은 것, 그게 나라에 공헌한 게 아닌가….”
10년 전 아들 잃은 이광기 "생명 순환은…"
“겨울나무가 가지 하나 없을 때는 죽었나 싶지만. 봄에 다시 꽃을 피우는 과정이잖아요. 선생님이 ‘만약 내가 없더라도 남겨진 것을 잊지 말라’면서 종자씨 같은 걸 남겨주시는 느낌이었어요. (죽음을) 두려워하는 게 아니라 맞이한 그대로 즐기시는 모습이랄까.”
뿌리가 썩지만 않으면 다시 꽃이 피는 생명의 순환. 자신의 사진작업과도 맞닿은 화두다. 앞서 이씨는 생화와 조화를 시간 경과에 따라 대조한 뒤 ‘삶이 꽃이라면 죽음은 삶의 뿌리’라는 제목을 붙여 전시한 바 있다. 이를 비롯해 임진각 피스 핀(Peace Pin) 프로젝트 등 전시·설치에 몰두하게 된 데엔 2009년 11월 아들 석규(당시 7세)를 신종플루로 잃은 고통이 깔렸다.
비탄의 낭떠러지에서 그를 끌어올려준 이가 김종규 이사장이었다. 덕분에 이어령 선생을 비롯, 많은 “인생의 어른들”을 만났고, 아이티·브룬디 등 세계 곳곳 재해·낙후 지역 봉사도 다녔다. “슬픔을 더 큰 사랑으로 승화시키는 법”을 배운 요즘은 문화창작·매개 및 봉사활동을 통해 얻은 에너지를 세상에 되돌려주기 위해 애쓰고 있다. 이 말을 하면서도 그는 눈가에 차오른 물기를 닦아냈다.
“육신이 사라지더라도 흔적이 남아 떠돌고 그게 DNA로 후세에 이어지잖아요. 그 때 그 모습이 내가 남기는 모든 것이라고 생각하기에 요즘은 옛 것과 새 것을 잇는 작업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이상의 집'에서 이 전 장관도 이런 말을 남겼다.
“바깥에서 이름나는 사람들은 ‘빈수레가 요란하다’고 별로 공헌한 게 없어요. 뒷골목에서 숨어서 일하는 사람들이 이 나라를 끌고 갑니다. 늘 그랬어요. 자기가 하는 일을 아무도 몰라주고, 외롭게 죽을 때 그는 공헌을 한 겁니다. (중략) 이상은 1930년대 외롭게 죽은 사람이지만 오늘날도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어마어마한 권력이나 돈을 남긴 사람보다 우리에게 더 큰 의미죠.(중략) 우리가 모인 이 집은 그가 남긴 정신의 신탁이 돼 오래오래 갈 것입니다.”
!['이상의 집'엔 이상의 초상화가 표지로 실린 문학사상 창간호가 전시돼 있다. 이상의 친구였던 꼽추화가 구본웅이 그린 초상화로 문학평론가 이어령이 수집한 이상 유품들 중 하나다. [사진 문화유산국민신탁]](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d1cc44be-c5c8-4737-9b3a-35b47f2a1cbb.jpg)
'이상의 집'엔 이상의 초상화가 표지로 실린 문학사상 창간호가 전시돼 있다. 이상의 친구였던 꼽추화가 구본웅이 그린 초상화로 문학평론가 이어령이 수집한 이상 유품들 중 하나다. [사진 문화유산국민신탁]
![2018년 말 재개관한 '이상의 집'에 자리한 이상의 흉상. [사진 문화유산국민신탁]](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4a15879b-2ade-4d48-a557-53de4b6fddac.jpg)
2018년 말 재개관한 '이상의 집'에 자리한 이상의 흉상. [사진 문화유산국민신탁]
![2009년 헐릴 뻔했다가 가까스로 보존돼 2018년 말 재개관한 종로구 통인동 '이상의 집'. [사진 문화재청]](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c622451a-3d3d-4925-994b-535ccf10b779.jpg)
2009년 헐릴 뻔했다가 가까스로 보존돼 2018년 말 재개관한 종로구 통인동 '이상의 집'. [사진 문화재청]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