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자리를 원하는 두 남성이 중장년 구직자를 채용하는 '60(60세 이상) 시니어 일자리 한마당'에 입장하고자 줄을 서 채용 안내서를 살펴보고 있다. 송봉근 기자
2014년 회사 퇴직 중장년 근로자 4405명 분석
상용직 줄고 임시직 늘어, 재취업 불안·일시적
최저임금 아래로 돈 받는 근로자 비율 3배 급증
"일자리 이탈 시점 늦춰 퇴직 후 대비 시간 줘야"
분석 결과 2013년까지만 해도 92.7%였던 취업자 비율은 퇴직 다음 해인 2015년 18.4%로 급락했다. 그 후 서서히 회복하면서 2018년엔 41.7%로 올랐다. 실업률 변화도 이와 맞물린다. 2015년 37.9%로 정점을 찍었다가 꾸준히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5060 퇴직자들은 임금과 고용 형태 등이 급격히 변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진 pixabay]](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d56f9c5e-a2dc-4b7f-a5f9-2feb426346c1.jpg)
5060 퇴직자들은 임금과 고용 형태 등이 급격히 변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진 pixabay]
이와 맞물려 세부 근로 형태도 흔들렸다. 2015년부터 정규직이 급감하고 비정규직이 급증했다. 특히 용역 근무가 20%, 일일호출이 10%가량을 차지했다. 근로시간 하락세 역시 여타 5060 세대와 비교했을 때 훨씬 더 두드러졌다. 퇴직 후 일자리가 대부분 불안하고 일시적인 경우가 많다는 의미다.
가계와 직결되는 임금 수준은 내려갈 수밖에 없다. 월 300만원 가깝던 임금은 퇴직을 기점으로 바닥까지 떨어졌다. 최저치로 떨어진 2017년에는 월 190만원을 밑돌았다. 퇴직 4년 뒤인 2018년에야 소폭 반등했다.
고용 악화에 따라 최저임금도 못 챙기는 중장년 근로자는 크게 늘었다. 최저임금 미만의 월급을 받는 비율은 퇴직 직전인 2013년 11.4%에 불과했다. 하지만 회사를 나가고 3년이 지난 2017년엔 30.3%로 세 배 가까이 뛰었다. 남재량 선임연구위원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비율이 최저임금도 못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지난 10월 서울에서 열린 ‘중장년 희망잡페어’에서 중장년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22/eeabf7ec-c8e3-465d-a4e3-bad7b9982a6d.jpg)
지난 10월 서울에서 열린 ‘중장년 희망잡페어’에서 중장년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뉴스1]
남 선임연구위원은 "오래 근무한 직장에서 이탈하면 2~3년간 급격한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다. 임금이 떨어지더라도 일자리를 계속 유지하는 게 근로자에게 이득이다"라면서 "일자리 이탈 시점을 늦춰서 새로운 환경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여유를 줘야 한다. 개인ㆍ국가 차원의 건강 관리와 함께 생산성을 고려한 임금 유연제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